“한지”에도 특허가 있네?
담당부서
기계금속건설심사본부
연락처
481-5374
작성일
2007-10-05
조회수
3057
“한지”에도 특허가 있네?
- 한지의 다양한 쓰임새 -
한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문화유산이다. 한지라고 하면, 어릴 적에 부모님들이 깨끗한 새 한지로 방문과 창문을 바르시던 것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전통문화유산으로만 알고 있는 한지가 오늘날에도 우리의 의식주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면서 끊임없는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에 따르면, 2001년 이후 한지와 관련된 특허 출원 건수는 350여 건으로서 해마다 60건 내외로 꾸준히 출원되고 있다. 그 중에서 한지의 용도에 관한 출원이 281건으로 약 80%, 한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출원이 약 18%, 디자인에 관한 출원이 2%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한지의 용도와 관련된 출원을 살펴보면, 건축재료·생활용품 등 주거환경과 관련된 출원이 약 40%, 음식물 보관·요리와 관련된 것이 16% 등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전통적인 사용처로서 유골함·수의 관련된 출원도 18% 정도를 차지한다.
주거환경과 관련된 출원에는 한지의 통기성, 친환경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벽지·장판지, 황토와 숯 등을 함께 사용한 타일과 바닥재, 침구재료 등이 있으며, 한지의 독특한 질감을 이용한 장식품, 반투명성을 이용한 조명기구와 통기성을 이용한 환기장치도 있다.
음식물 보관·요리 관련된 것은 고기의 요리시 나오는 기름을 흡수하도록 한 요리 기구, 통기성을 이용한 음식물 포장재료, 음식의 냄새를 흡수하도록 하는 포장재료 등이 있다.
그 외에, 한지가 가볍고 흡수성이 좋으며 인체에 무해하다는 성질을 이용한 일회용 속옷, 냄새를 줄인 신발 등 의복에 대한 출원이 있고, 특수한 사용 용도로서 수질 정화, 식물재배, 특수 유리 제조, 열교환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허가 출원되고 있다.
고급 한지 또는 새로운 기능을 가진 한지를 제조하는 방법과 관련된 출원을 살펴보면, 친환경재료로 주목받고 있는 황토 또는 숯과 같이 어우러져 새로운 친환경재료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한지를 실의 형태로 만들어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로 사용되기도 하며, 독특한 질감, 색상 등을 가진 공예재료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경제적 성장과 함께 웰빙을 추구하는 요즈음, 과거에 비해 천연재료가 더욱 주목받고 있으므로, 한지에 관련한 특허 출원은 꾸준히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지가 단순한 전통문화유산으로서 계승되는 차원을 넘어서 특허출원을 통해 더욱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기계금속건설심사본부 공조기계심사팀 사무관 강동구 (042-481-5513)
- 한지의 다양한 쓰임새 -
한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문화유산이다. 한지라고 하면, 어릴 적에 부모님들이 깨끗한 새 한지로 방문과 창문을 바르시던 것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전통문화유산으로만 알고 있는 한지가 오늘날에도 우리의 의식주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면서 끊임없는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에 따르면, 2001년 이후 한지와 관련된 특허 출원 건수는 350여 건으로서 해마다 60건 내외로 꾸준히 출원되고 있다. 그 중에서 한지의 용도에 관한 출원이 281건으로 약 80%, 한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출원이 약 18%, 디자인에 관한 출원이 2%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한지의 용도와 관련된 출원을 살펴보면, 건축재료·생활용품 등 주거환경과 관련된 출원이 약 40%, 음식물 보관·요리와 관련된 것이 16% 등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전통적인 사용처로서 유골함·수의 관련된 출원도 18% 정도를 차지한다.
주거환경과 관련된 출원에는 한지의 통기성, 친환경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벽지·장판지, 황토와 숯 등을 함께 사용한 타일과 바닥재, 침구재료 등이 있으며, 한지의 독특한 질감을 이용한 장식품, 반투명성을 이용한 조명기구와 통기성을 이용한 환기장치도 있다.
음식물 보관·요리 관련된 것은 고기의 요리시 나오는 기름을 흡수하도록 한 요리 기구, 통기성을 이용한 음식물 포장재료, 음식의 냄새를 흡수하도록 하는 포장재료 등이 있다.
그 외에, 한지가 가볍고 흡수성이 좋으며 인체에 무해하다는 성질을 이용한 일회용 속옷, 냄새를 줄인 신발 등 의복에 대한 출원이 있고, 특수한 사용 용도로서 수질 정화, 식물재배, 특수 유리 제조, 열교환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허가 출원되고 있다.
고급 한지 또는 새로운 기능을 가진 한지를 제조하는 방법과 관련된 출원을 살펴보면, 친환경재료로 주목받고 있는 황토 또는 숯과 같이 어우러져 새로운 친환경재료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한지를 실의 형태로 만들어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로 사용되기도 하며, 독특한 질감, 색상 등을 가진 공예재료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경제적 성장과 함께 웰빙을 추구하는 요즈음, 과거에 비해 천연재료가 더욱 주목받고 있으므로, 한지에 관련한 특허 출원은 꾸준히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지가 단순한 전통문화유산으로서 계승되는 차원을 넘어서 특허출원을 통해 더욱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기계금속건설심사본부 공조기계심사팀 사무관 강동구 (042-481-5513)
첨부파일
다음글
상담센터(1544-8080)
담당자 : 대변인 최현경 | 042-481-503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