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카운터

today 0ltotal 3849
since 2005.09.22
RSS Feed RSS Feed

게시판

게시판상세

[정책동향] 2025년 식품산업 진흥 정책 방향…푸드테크ㆍ그린바이오 신산업 육성

글쓴이 식품생물자원 특허연구회 작성일 2025.01.31 17:13 조회수 295 추천 0
  • 2027년까지 한식 산업 규모 300조 목표

  • K-Food 수출 확대 위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전통 장류, 소스 산업으로 육성…새로운 활로 개척

  • 미식관광 테마 ‘K-미식벨트’ 3개소(주제: 인삼, 전통주, 김치) 추가 조성

  • 식품 분야 R&D 409억…역대 최대 규모

  •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역별 식품기업 협의체’ 간 광역 연계망 구축

 

 

[양주필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 특별기고]

 

지난 2007년 「식품산업진흥법」 제정 이후 농림축산식품부가 식품산업 진흥 정책의 주무부처가 되며 국내 식품산업은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식품산업 규모는 약 725조원으로 농림업 생산액(61.6조원, ’23년 기준) 보다 약 12배 크고, 지난 2008년(196조원) 대비 약 4배 가까이 성장했다.

 

K-POP, 드라마, 영화 등 K-콘텐츠에서 시작된 K-Food 열풍은 이제 다른 문화 콘텐츠를 넘어서서 한류 열풍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전세계 어디서든 K-Food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여건 속에서 해외 소비자들이 K-콘텐츠보다 K-Food를 먼저 접하게 되면서 K-Food 확산이 한국의 문화와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지난 해 농식품 수출은 역대 최초로 100억불 달성에 성공했으며, ‘해외한류실태조사’에 따르면 K-Food는 화장품ㆍ음악ㆍ패션 등을 제치고 한국 문화콘텐츠 인기도에서 10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0년 전무했던 미쉐린 스타 한식당이 2024년에는 무려 36개나 지정됐으며, 이제 김치ㆍ불고기와 같은 전통적인 K-Food를 넘어 떡볶이ㆍ어묵ㆍ순대 등 K-Street Food도 외국인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한식의 매력을 세계로 확장하고 있다.

 

2025년에는 가시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공세적인 자세로 식품산업 육성 정책을 추진해 식품산업의 산업적 가치를 제고하는 한편, 농가와 식품기업 간 상생을 활성화하여 식품산업의 성장이 농업의 성장을 견인하고자 한다.

 

 

-푸드테크ㆍ그린바이오 등 미래 신산업 육성

2027년까지 푸드테크 수출액 20억불, 그린바이오 국내 시장 규모 10조원 달성

 

-K-Food 수출 확대를 위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농식품 수출 100억달러 시대 개막

 

-글로벌 미식 트렌드를 주도하는 한식ㆍ외식 산업 육성

2027년까지 한식 산업 규모 300조원, 매출 1조 이상 외식기업 5개 이상 달성

 

-농업과 식품산업 간 연계 강화

농업과 식품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지속 가능한 상생 협력 체계 구축

 

-식품산업 성장 기반 공고화

변화된 경영 환경에 대응한 식품기업의 대응능력 강화

 

 

출처 : 식품저널 foodnews(http://www.foodnews.co.kr)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이모티콘 이모티콘 펼치기
0/40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