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발명의 날 60주년 발명·지식재산 컨퍼런스 개최 - 「창의와 혁신이 이어가는 미래」를 주제로 지식재산(IP) 혁신 사례와 미래 전략 공유 - |
특허청(청장 김완기)은 5. 20.(화) 오전 10시, 코엑스 마곡(서울 강서구)에서 「창의와 혁신이 이어가는 미래」를 주제로 발명·지식재산 컨퍼런스(이하,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컨퍼런스는 발명의 날 60주년을 기념*하여 발명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지식재산 기반의 혁신 사례와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로 마련되었다. 특허청장, 한국발명진흥회 상근부회장, 한국특허전략개발원장 등 주요 인사와 변리사, 연구자, 지식재산권(IP) 관련 실무자, 학생 등 600여 명이 참석해 지식재산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 5. 19.(월) 15시 발명의 날 60주년 기념식 개최
<세션 1> 발명에서 끝나지 않는 아이디어
첫 번째 세션에서는 지식재산(IP) 중점대학 및 발명 특성화고 학생과 예비창업가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발상과 도전 정신을 강조하는 다양한 발표가 이어졌다.
▲ 야놀자클라우드 김종윤 CEO는 ‘Vertical AI와 완전 자동화(Full-Automation) 기술을 통한 초개인화된 여행의 미래’를 주제로 인공지능이 가져올 관광산업의 혁신을 소개하고, ▲ 긱블 박찬후 대표는 ‘도전과 실패 그리고 성공에서 얻는 과학적 경험’을 중심으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의 자세를 강조했다. ▲ 유튜버 과학쿠키는 ‘발명의 천재들은 어떻게 발견해냈을까?’라는 흥미로운 질문을 통해 발명적 사고의 출발점을 탐구했다.
<세션 2> 격동하는 산업 속 첨단 기술과 특허의 미래
두 번째 세션에서는 6G,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의 발전 방향 등 최근 이슈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특허전략을 통한 권리·사업화 및 특허 빅데이터 분석 사례 등 심도 있는 발표가 진행되었다.
▲ 연세대 김광순 교수, 세종대 박기호 교수는 기술주도권 경쟁이 치열한 6G, 인공지능(AI) 분야에 대해 ‘6G 표준화 동향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과 ‘AI 기술 및 AI 반도체의 발전 방향’을 각각 제시하였다.
이어 ▲ ㈜큐피크바이오 황준성 대표와 ㈜트위니 한승완 팀장은 각각 ‘맞춤형 전주기 지원사업과 연계한 연구개발의 권리·사업화 사례’ 및 ‘자율주행 로봇분야에서 특허전략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하였다.
마지막으로 ▲ 클라리베이트 이동욱 수석과 ▲ 한국특허전략개발원 전상규 CPO는 각각 ‘AI와 IP 융합을 통한 지식재산 보호전략’과 ‘인공지능 분야 특허 빅데이터 분석’이란 주제로 새로운 시각의 방법론 및 분석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번 컨퍼런스는 발명이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지식재산이 기업 경쟁력으로 연결되는 구체적인 사례와 통찰을 공유하는 소통의 장이 될 전망이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발명의 날 60주년을 맞아, 이번 컨퍼런스가 대한민국의 창의와 혁신이 발명을 통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되돌아보는 동시에, 앞으로 60년을 어떻게 그려나갈지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며 “특허청은 앞으로도 창의성과 기술이 융합하는 지식재산 기반의 창조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