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양자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양자 분야 이미지
다음은 양자 분야입니다.
첫 번째, HPC 보도 내용입니다.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이 추진 중인 퀀텀 증강 네트워크 프로그램에서 양자 통신 링크를 기존 통신망에 결합한 첫 시범 운용에 성공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양자 링크와 기존 통신 링크를 동시에 활용해 메시지를 네트워크 전체에 중단 없이 전송하는 데 성공했으며, 초당 6점8메가비피에스 속도의 고화질 영상 스트리밍도 구현했습니다. 이는 현재까지 보고된 양자통신 실험 중 최고 수준의 성과로 평가됩니다.
두 번째, 양자신문 보도 내용입니다. 일본 오사카대학교와 이화학연구소, 후지쯔 등 주요 기업이 협동 연구를 통해 설계부터 제조, 시스템 구축까지 전 과정을 자국 기술로 완성한 초전도 양자컴퓨터를 공개했습니다. 그동안 초전도 유지 장비인 냉장기 등 핵심 부품을 수입에 의존해왔으나, 이번 개발에서는 모든 장비를 자국 부품으로 대체했습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독자 개발한 오픈소스 플랫폼 오크토퍼스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현재 28큐비트 수준에서 올해 안에 100큐비트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일본은 양자컴퓨터 제작과 운영 전 분야에서 핵심 기술 자립 기반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세 번째, 글로벌이코노믹 보도 내용입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진이 여러 개의 작은 칩을 연결해 하나의 강력한 장치처럼 작동하는 확장 가능한 양자컴퓨팅 아키텍처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연구진은 이 아키텍처가 서로 다른 양자 칩을 연결하더라도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이 가능해, 양자 하드웨어의 확장성과 내결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양자 칩 간 연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양자 칩 신호보다 10배 크더라도, 시스템이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여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함을 확인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양자) 양자키분배(QKD) 기술 특허동향 분석
초전도 양자컴퓨터 기술 특허동향 분석 결과를 소개드립니다. 주요 국적별 시계열 특허출원 동향을 보면, 2014부터 2023까지 전반적으로 출원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출원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며, 일본과 한국, 독일 등도 점진적인 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 전 세계 주요 출원인별 현황을 보면, 미국의 아이비엠이 338건으로 6.7퍼센트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중국 상해마이크로시스템정보기술연구소가 96건, 구글 80건, 오리진퀀텀컴퓨팅 64건, 바이두 59건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출원인별 현황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7건으로 41.2퍼센트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삼성전자가 5건으로 29.4퍼센트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포항공과대학교, 전남대학교가 각각 1건씩 출원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