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반도체 기술 분야입니다.
첫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DB하이텍은 2022년부터 개발해 온 갈륨나이트라이드 실리콘카바이드 등 화합물 반도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세대 전력반도체 공정 개발을 완료하고, 시험 생산용 웨이퍼를 10월에 제공할 예정입니다. 갈륨나이트라이드 소재 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반도체보다 고전압, 고주파, 고온에 강하며, 높은 전력 효율을 자랑합니다. 이번에 개발된 전력반도체는 고속 스위칭과 개선된 안정성을 특징으로, 전기차 충전기, 데이터센터의 전력변환기, 5G 통신 분야 등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두 번째, CNBC 보도 내용입니다. 인도 정부는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반도체 제조와 다수의 테스트 및 패키징 공장을 포함한 총 10건의 반도체 프로젝트를 승인했습니다. 총 1조 6천억 루피, 약 25조 원 규모입니다. 인도는 세계 반도체 설계 기업에서 활동하는 막강한 엔지니어링 인재 풀을 보유하고 있으나, 글로벌 수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술적, 법적, 제도적 기반의 확충이 필수적입니다. 인도 타타일렉트로닉스는 대만 파워칩과 14조 4천억 원 규모 반도체 공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폴리티코 보도 내용입니다. 미국 상무부는 엔비디아, 삼성전자 등 200여 개 기업이 회원사로 포함된 미국 국립반도체기술센터 운영기관 냇캐스트에 대한 74억 달러 반도체 기금 지원을 전면 철회했습니다. 미 상무부 장관은 냇캐스트 기금을 전 정권 비자금으로 비난하며 지원을 철회하고 자금을 회수했으며, 법무부는 냇캐스트를 법적 근거가 미흡한 불법 설립으로 해석했습니다. 미국 행정부는 기업들과 재협상 추진을 시사하며 정부의 과도한 개입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상담센터(1544-808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