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첨단로봇·제조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트위터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첨단로봇·제조 분야 이미지
다음은 첨단로봇·제조 분야입니다.
첫 번째, 로봇신문 보도 내용입니다.
국내 로봇 제조사인 뉴로메카가 자사 협동로봇 인디에 자체 개발한 AI 기반 모방학습과 충돌회피 기능을 탑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모방학습 기능은 사용자가 직접 로봇을 조작하며 동작을 학습시켜 별도 프로그래밍 없이 직관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 충돌회피 기능은 카메라 및 라이다 센서를 활용해 장애물을 감지하고 실시간 안전 경로를 생성하여 보다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합니다.
두 번째, 조선일보 보도 내용입니다.
애플이 개인 비서 로봇으로 개발 중인 가정용 탁상램프 로봇의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로봇에 작업 수행을 위한 기능적 움직임과 함께 감정이나 상태를 전달하는 표현적 움직임도 프로그래밍화하여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구축했습니다. 애플은 아이폰 매출 부진과 애플카 프로젝트 중단 이후 차세대 주요 프로젝트로 로봇 개발을 선택해 다양한 형태의 로봇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로봇신문 보도 내용입니다.
노르웨이 휴머노이드 로봇 업체인 1X 테크놀로지가 가정용 환경에 적합하도록 사람처럼 걷고 말하는 데 초첨을 맞춘 로봇 네오감마를 공개했습니다. 이 로봇은 부상 방지를 위해 부드러운 나일론 소재를 도입하고, 온보드 AI 시스템을 탑재해 정교한 환경 인식이 가능합니다. 자체 개발한 대형언어모델로 자연스러운 대화와 바디랭귀지를 지원하며, 음성 인터페이스와 통합되어 직관적인 가정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첨단로봇·제조) 로봇-인간 상호작용 기술 특허동향 분석
첨단로봇·제조 분야의 로봇-인간 상호작용 기술의 2013년에서 2022년 사이 특허출원 동향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출원 동향의 경우, 2013년 521건에서 2019년 1,647건까지 꾸준하게 증가하다가 2022년 1,083건으로 점차 감소했습니다.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국가는 전체의 29.3%를 차지한 미국이며, 이어 일본 22.2%, 한국 17.8%, 중국 12.4%, 독일 4.1% 순입니다.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동향은 한국의 LG전자가 412건의 특허출원과 3.5%의 점유율로 1순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일본의 화낙, 일본의 세이코 엡손, 미국의 엑스 디벨럽먼트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는 LG전자가 41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삼성전자가 181건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