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공지능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인공지능 분야 이미지
다음은 인공지능 분야입니다.
첫 번째, 뉴욕타임스 보도 내용입니다. 미국이 인공지능 기술 경쟁 주도권 확보를 위한 행동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과의 인공지능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AI 기술 수출을 적극 장려하고 환경 규제 완화를 핵심으로 한 새로운 AI 청사진을 발표했습니다. 기존 규제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AI 산업 성장을 위한 전략으로, 주별 AI 규제 일원화,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한 환경 규제 완화, 그리고 AI HW와 SW의 동맹국 수출 확대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또한 민간 기업과 협력해 AI 기술 표준 등이 포함된 풀스택수출패키지를 동맹국에 제공할 것으로 발표하여 엔비디아, 오픈AI 등 주요 AI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전망입니다.
두 번째, AI 타임즈 보도 내용입니다. 중국의 베이징 AI 연구원이 차세대 로봇용 AI 모델을 공개했습니다. 베이징 AI 연구원 BAAI는 물리 환경에서 요구되는 핵심 능력인 공간적 이해와 시간적 의사결정을 모두 수행 가능한 차세대 로봇용 체화형 AI 모델인 로브레인 2.0을 공개했습니다. 체화형 AI란, 로봇이나 자율주행차 등 물리적 몸체를 가진 AI 시스템이 현실에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로브레인 2.0은 비전 및 언어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로, 7B와 32B 매개변수 두 가지 버전으로 제공되며, 단계별 학습으로 고차원적 추론과 다중 에이전트 협업 등을 수행합니다. 특정 사물이나 공간을 정확하게 지목하고, 주변 장애물을 피하면서 효율적인 이동 경로 예측을 수행하는 등 산업 자동화, 물류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 번째, AI 타임즈 보도 내용입니다. 엘지 AI 연구원의 AI 모델 엑사원 4.0이 성능 평가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엘지 AI 연구원의 AI 모델 엑사원 4.0이 글로벌 AI 성능 분석 기관이 발표한 인텔리전스 지수에서 한국 모델 중 1위, 종합 11위에 랭크되었습니다. 추론, 지식 역량, 과학 문제 해결, 코딩 능력, 수학 문제 해결 등 7개 고난도 지표를 종합한 평가에서 종합 64점대로 종합 11위를 차지했으며, AI 모델 개발 기업 순위는 8위를 기록했습니다. 엑사원은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 공개 2주 만에 5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인공지능) 체화형 AI 기술 특허동향 분석
인공지능 분야의 체화형 AI 기술 특허동향 분석 결과를 소개드립니다. 국적별 특허출원 동향은 2014년 305건에서 2017년 738건으로 증가했으며, 2018년 934건, 2020년 1,431건, 2021년 1,683건, 2022년 1,755건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후 2023년에는 1,668건으로 다소 감소했습니다. 전 세계 주요 출원인별 현황을 보면, 미국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714건으로 6.6퍼센트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일본 소니 605건 5.6퍼센트, 중국 샤오미 549건 5.1퍼센트, 일본 도요타 531건 4.9퍼센트, 미국 구글 304건 2.8퍼센트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출원인별 현황은 네이버가 150건으로 11.8퍼센트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LG전자 118건 9.3퍼센트, 삼성전자 54건 4.3퍼센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0건 3.9퍼센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41건 3.2퍼센트, 현대자동차 36건 2.8퍼센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2건 2.5퍼센트, 레인보우로보틱스 27건 2.1퍼센트, 한양대 22건 1.7퍼센트, 국방과학연구소 21건 1.7퍼센트로 조사되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