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공지능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트위터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인공지능 분야 이미지
다음은 인공지능 기술 분야입니다.
첫 번째, 테크크런치 보도 내용입니다.
스탠포드대와 워싱턴대 연구진이 약 50달러, 한화 약 7만 원 비용으로 최첨단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갖춘 AI 추론 모델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연구진은 오픈소스 모델을 기반으로 사전에 학습된 큰 규모 모델에서의 학습 내용을 작은 모델로 이전하는 지식 증류 기법을 사용해 저렴한 비용으로 모델을 제작했습니다. 개발된 모델인 s1은 엔비디아 GPU인 H100 16장을 사용해 30분 이내에 훈련을 완료했습니다.
두 번째, 파이낸셜타임스 보도 내용입니다.
프랑스 정부는 AI 정상회의에서 미국 스타게이트 데이터센터에 맞서 인공지능 분야에 1,090억 유로, 한화 약 163조 원의 규모로 투자할 예정인 민간 기업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아랍에미리트 투자회사 MGX는 500억 유로, 캐나다 브룩필드는 20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며, 구축할 데이터센터는 자국 AI 기업을 위해 제공될 예정입니다.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가 AI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자국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여 미국과 중국 기술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세 번째, 정책브리핑 발표 내용입니다.
범부처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AI 인프라 확충, 스타트업 지원, 핵심 인재 양성을 포함한 정책을 공개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대 2조 원을 투입해 2026년 상반기까지 최첨단 GPU 1만 8천 장을 확보하고, 2027년까지 3만 장을 추가 확보할 예정입니다. 또한 인공지능 국가대표 프로젝트 가칭 World Best LLM을 추진하여 혁신적인 AI 알고리즘 개발을 지원하고, 글로벌 수준의 개방형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 생태계를 조성할 방침입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인공지능) AI 학습·추론 고효율화 기술 특허동향 분석
인공지능 분야의 AI 학습·추론 고효율화 기술의 2013년에서 2022년 사이 특허출원 동향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출원 동향의 경우, 2017년 354건에서 2021년 1,897건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2022년 1,676건으로 다소 감소했습니다.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국가는 전체의 37%를 차지한 중국이며, 이어 중국 35%, 한국 9%, 일본 8%, 독일 3% 순입니다.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동향은 중국의 바이두가 362건의 특허출원과 4.7%의 점유율로 1순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미국의 구글, 미국의 아이비엠, 중국의 화웨이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는 삼성전자가 17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39건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