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우주항공·해양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우주항공·해양 분야 이미지
다음은 우주항공 해양 분야 내용입니다.
첫 번째, 경향신문 보도 내용입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해저 희토류 정밀 탐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최첨단 물리 탐사 연구선인 탐해 3호가 서태평양 공해로 출항하여 해저 코어 채취와 다학제 연구 등 해저에 분포한 희토류 정밀 탐사를 본격적으로 개시했습니다. 물리 탐사는 해양의 지질 구조 또는 지하 매질의 물리적 특성 파악을 위해 지하 매질 물성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는 탐사로, 탄성파 탐사, 전기 및 전자 탐사, 중력 탐사 등으로 구분됩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지난 4년간 수행한 태평양 전역 기초 조사를 통한 159개 해역의 희토류 농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순수 우리 기술을 통해 이루어지는 첫 현장 정밀 탐사여서 큰 의미를 가집니다.
두 번째, 매일경제 보도 내용입니다. 중국이 위성 간 우주 급유를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는 추정이 나왔습니다. 미국 우주물체 추적 기업 콤스포크가 중국이 2021년 발사한 인공위성 스젠-21과 새롭게 발사된 위성 스젠-25가 도킹하는 장면을 포착하여 위성 간 연료 공급 성공을 추정했습니다. 중국의 공식 발표는 없었지만, 인공위성 스젠-21이 발사된 이후 연료가 소진되는 시점이었고, 스젠-25 위성을 연료 보급을 위한 설계라고 밝힌 점 등을 통해 우주 급유 성공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인공위성은 보통 연료가 떨어지면 임무가 종료되는데, 우주 급유는 다시 위성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기술로, 미국의 스페이스X도 해당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세 번째, 정책브리핑 보도 내용입니다. 우주청이 누리호 개발 기술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이전합니다. 정부 주도로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 즉 누리호 개발 기술이 민간으로 공식 이전되는 첫 사례로, 개발 주관 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주관 기관으로 하여 2022년 착수 후 2027년까지 총 4회의 누리호 발사를 수행했으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 제작 총괄을 주관했습니다. 이번 기술 이전을 계기로 올해 예정된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 준비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우주청은 향후 민간 기업의 우주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할 예정입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우주항공·해양) 해양 물리탐사 기술 특허동향 분석
우주항공·해양 분야의 해양 물리탐사 기술 특허동향 분석 결과를 소개드립니다. 주요 국적별 시계열 특허출원은 2014년 92건에서 2016년 101건, 2017년 113건으로 증가했으며, 2019년에는 159건, 2020년 171건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후 2021년 148건으로 감소했으나 2022년 173건으로 다시 증가한 뒤, 2023년에는 161건을 기록했습니다. 전 세계 주요 출원인별 현황을 보면, 중국석유화공공사가 88건으로 6.7퍼센트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중국해양석유총공사 41건 3.1퍼센트, 페트로차이나 37건 2.8퍼센트, 중국석유대 30건 2.3퍼센트, 하얼빈공업대 29건 2.2퍼센트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출원인별 현황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13건으로 39.4퍼센트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네이버시스템이 각각 3건 9.1퍼센트, 레드원테크놀러지와 에이에이티가 각각 2건 6.1퍼센트, 현대건설·하이드로날릭스·아진산업·셀파이엔씨·한국로봇융합연구원이 각각 1건씩 3.0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