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차세대통신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트위터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차세대통신 분야 이미지
다음은 차세대 통신 기술 분야입니다.
첫 번째, 캐패서티 보도 내용입니다.
차이나유니콤이 자국의 차세대 이동통신망 발전을 위해 2025년 말까지 중국 내 300개 이상 도시에서 5G 어드밴스드 서비스를 배치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혁신 프로그램을 통해 산업별 응용 확대와 AI 기반 혁신의 가속화를 추진하며 파트너사와 5G·AI 통합을 위한 협력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두 번째, 한국경제 보도 내용입니다.
KT가 글로벌 이동통신 장비 제조사 에릭슨과 협력하여 초고속 6G 네트워크 기반 구축을 위해 저대역 FDD 주파수를 활용한 멀티무선 다중입출력 기지국 공동 연구를 추진합니다. KT는 6G 환경에서의 초고속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저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안정적인 커버리지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해당 기술은 1.8G 및 2.1G 듀얼밴드 단일 안테나 동시 지원, 무선 신호는 원하는 방향으로 전송하는 빔포밍 기반 신호 집중, 업링크 셀 간 섭제어를 통해 초고속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세 번째, 정책브리핑 발표 내용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이 6세대 이동통신 국제표준 기반의 국내 독자 저궤도 위성통신 체계 개발을 위해 2025년부터 6년간 3개 과제에 총 3,200억 원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지상 통신망이 마비되는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인 대안이지만, 높은 기술 난이도와 막대한 투자 비용이 요구됩니다. 이번 지원은 위성과 지상 및 위성과 위성 간 통신을 위한 통신탑재체, 지상국, 단말국, 위성 본체 및 종합 등으로 연구개발이 추진됩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차세대 통신) 초고속 6G 네트워크 기술 특허동향 분석
차세대 통신 분야의 초고속 6G 네트워크 기술의 2013년에서 2022년 사이 특허출원 동향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출원 동향의 경우, 2013년 558건에서 2019년 934건으로 증가하다가 2022년 825건으로 점차 감소했습니다.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국가는 전체의 34%를 차지한 중국이며, 이어 미국 26%, 한국 16%, 일본 12%, 스웨덴 4% 순입니다.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동향은 한국의 삼성전자가 694건의 특허출원과 9.4%의 점유율로 1순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스웨덴의 에릭슨, 중국의 화웨이, 미국의 퀄컴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는 삼성전자가 69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LG전자가 124건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