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글로벌 정책 동향 부분입니다.
첫 번째,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발표 내용입니다. 미국 신흥 바이오기술 국가안보위원회가 생명공학을 국가전략산업으로 격상할 것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국가생명공학조정국 설치, 중국 공급망 차단, 대규모 투자 등 49개의 행동지침을 제시했으며, 생명공학을 반도체나 AI와 같은 국가전략산업으로 규정하고 전담 조직을 설치해 향후 5년간 150억 달러 이상을 투입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사진설명: * 미 신흥 바이오기술 국가안보위원회
두 번째, 정책브리핑 발표 내용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생성형 AI에 이은 피지컬 AI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K-휴머노이드 연합을 출범시켰습니다. 이 연합은 로봇 핵심기술 개발 지원을 목적으로 2030년까지 1조 원을 투자할 전망입니다. 로봇 중점분야에 따라 AI개발, 로봇제조사, 로봇부품사 등 6개 전문그룹을 구성했으며, 국내 산업계와 학계 40개 단체가 참여하는 형태입니다. 또한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를 통해 공급업체와 수요업체 간 협업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사진설명: * 안덕근 산업부 장관
세 번째, 신화통신 보도 내용입니다. 시진핑 중국 주석과 베트남 토람 서기장이 정상 회담을 통해 과학기술 혁신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AI, 반도체칩, 5G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으며, 과학기술 분야와 관련해 부처 및 지방 기관 등이 참여하는 45개 협정 문서에 서명해 투자 및 생산 분야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양국의 미래 공동체 구축을 위한 전략적 비전도 함께 논의했습니다. 사진설명: * 시진핑주석(좌3), 토람서기장(우4)
네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미국 하원 미중 전략경쟁특별위원회가 중국 AI 업체 딥시크에 대한 제재를 본격화했습니다. 위원회는 딥시크를 심각한 위협으로 규정한 조사보고서를 발표했는데, 딥시크 설립자 량원펑과 중국 정부기관과의 관련성, 그리고 딥시크에서 수집한 이용자 데이터가 중국 정부 소유 업체로 전송되는 문제 등을 지적했습니다. 위원회는 미국 정부에 대중 AI 칩 수출 통제 및 싱가포르 등에 대한 추가 조사를 권고했습니다. 사진설명: * 존 물레나르 위원장(좌)

여섯 번째, 대만 경제부 발표 내용입니다. 대만 경제부가 핵심 기술 관련 자국 기업의 해외 투자 통제를 강화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경제부는 TSMC의 미국 내 반도체 생산 투자 등에 적용할 산업혁신조례 개정안의 세부 수정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개정안에는 국가 안보 및 경제 발전에 불리한 영향을 끼칠 경우 해외 투자를 불허할 수 있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TSMC의 공장 이전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해외에서는 대만보다 낮은 공정, 즉 N-1 공정만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 적용도 시사했습니다. 사진설명: * 궈즈후이 경제부장
일곱 번째, NHK 보도 내용입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취임 후 첫 베트남 방문을 통해 팜민찐 베트남 총리 및 토람 서기장과 정상회담을 갖고 과학기술, 혁신, 인재양성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양국은 반도체 분야 공동연구 및 인재 육성, 우주분야에서의 지구관측위성 발사, 에너지 분야 등에서 협력 관계를 심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또한 향후 AI와 양자 부문의 협력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입니다. 사진설명: * 이시바 총리(좌), 팜민찐 총리(우)
여덟 번째, 특허청 발표 내용입니다. 김완기 특허청장이 독일 뮌헨에서 캄피누스 유럽 특허청 청장 및 에바 슈비오르 독일특허상표청장과 연쇄 회담을 갖고 지식재산 주요 현안을 논의했습니다. 양측은 사용자 중심의 지식재산 제도 개선에 공감하며, 유럽 단일 특허 제도에 대한 설명회 개최에 합의하고 글로벌 특허 양도 협력 방안도 논의했습니다. 또한 AI 관련 지식재산 행정 및 특허심사 사례에 대한 업무 협력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사진설명: * 김완기청장(좌5), 캄피누스청장(우5)
상담센터(1544-808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