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디자인분류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트위터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디자인물품 분류제도

로카르노 국제분류(Locarno Claafication)

  • 1) 우리나라는 2014년 7월 1일부터 국제 디자인등록출원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산업디자인의 국제분류(로카르노 분류 15판))를 사용하고 있다.

    디자인 분류 즉 물품류 구분은 디자인보호법 제40조 제2항에 근거한 동법 시행규칙 제38조 제1항 및 제3항 관련 [별표4]로 정함

  • 2) 로카르노 분류 15판은 2025년 1월 발행된 가장 최근판으로 32개류 241개군, 5,219개의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우리나라는 로고와 인테리어 등을 분류하는 32류는 제외하고 31개류 239개군을 적용하고 있다.
  •  
  • 3) 디자인등록출원시에는 출원서의 [물품류] 기재란에 국제분류의 류(Class)를 기재하여야 한다. 

    디자인 물품류별 물품목록은 로카르노와 한국분류의 물품명칭을 합한 것으로 약 10,768개의 물품명칭이 수록되어 있음

  • 4) 국제분류는 관리적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선행디자인 검색 등 실체심사시에는 한국분류를 기준으로 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  
  • 5) 국제분류 제1류(식품), 제2류(의류 및 패션잡화용품), 제3류(다른 류에 명기되지 않는 여행용품, 케이스, 파라솔 및 신변용품), 제5류(섬유제품, 인조 및 천연 시트직물류), 제9류(물품 운송·처리용 포장 및 용기), 제11류(장식용품), 제19류(문방구, 사무용품, 미술재료, 교재)는 일부심사 출원에 해당하고 나머지는 디자인 심사출원에 해당한다.

디자인 한국분류(LUC)

  • 1) 한국분류는 변화하는 디자인 산업환경 대응과 국제분류와의 조화를 위해 2021년 7월 도입되었다. 한국분류는 로카르노 분류 기반으로 개발되어 선행심사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  
  • 2) 디자인분류의 체계는 로카르노 분류의 클래스(Class)와 서브클래스(Sub-Class), 세분류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