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차세대 원자력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트위터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차세대 원자력 분야 이미지
다음은 차세대 원자력 기술 분야입니다.
첫 번째, 글로브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캐나다의 통합 용융염원자로 개발 기업 테레스트리얼 에너지가 미국 텍사스 A&M 대학교와 협업하여 차세대 원자력 도약을 추진하기 위해 캠퍼스 내 통합용융염원자로 발전소 건설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통합용융염원자로는 용융 불화물 또는 염화물에 녹인 핵연료를 사용하는 원자로로, 1차 냉각재 계통 2차와 통합하여 교체가능한 원자로 압력용기 내에 설치한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첨단 원자로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시험장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소형 모듈형 원자로 기술을 활용하여 1기가와트 이상의 발전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두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HD한국조선해양이 미국 휴스턴 해양 원자력 서밋에서 소형 모듈형 원자로, 약자로 SMR 기술을 적용한 원자력 추진 컨테이너선 설계 모델을 공개했습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이미 미국선급협회로부터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5,000개를 실을 수 있는 컨테이너선 설계모델에 대한 기본인증을 획득하여 사업 기반을 확보했습니다. 해당 모델은 스테인레스강과 경수를 활용한 이중탱크 방식의 해양 방사선 차폐 시스템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확보하였고, 초임계이산화탄소 추진 시스템을 통해 열효율을 개선한 것이 특징입니다.
세 번째, 조선일보 보도 내용입니다.
미국 홀텍과 현대건설은 미국 미시간주 팰리세이즈 원자력발전소에서 미션2030 행사를 통해 올해 연말 팰리세이즈 SMR-300 1호기 프로젝트 착공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양사는 올해 상반기 내 설계를 완료하고 연말에 착공하여 2030년 상업 운전을 개시한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는 국내 건설사가 해외에서 SMR을 건설하는 첫 사례로 전망됩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차세대 원자력) 용융염 원자로 기술 특허동향 분석
차세대 원자력 분야의 용융염 원자로 기술의 2013에서 2022년 사이 특허출원 동향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출원 동향의 경우, 연도별로 변동이 크며 2017년 40건, 2020년 43건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감소했습니다.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국가는 전체의 35%를 차지한 중국이며, 이어 미국 32%, 캐나다 15%, 한국 5%, 일본 2% 순입니다.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동향은 전 세계를 기준으로 중국의 상하이 응용 물리 원자력 연구소가 42건의 특허출원과 24.3%의 점유율로 1순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미국의 테라파워, 캐나다의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영국의 스캇 이안 리차드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는 삼성중공업이 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수력원자력이 4건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