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차세대 원자력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차세대 원자력 분야 이미지
다음은 차세대 원자력 내용입니다.
첫 번째, CBC 보도 내용입니다. 미국 오클로는 최신 전기화학 공정을 통해 사용후 핵연료를 재활용해 청정 전기로 전환하는 시설 설립을 위해 최대 16억8천만달러 약 2조2천억원를 투자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오클로 첨단 연료 센터의 첫 단계로, 재활용된 사용후 핵연료를 자사 초고속 원자로 오로라의 연료로 다시 사용하는 미국 최초의 시설이 될 전망입니다. 현재 미국 전역에 보관 중인 사용후 핵연료는 9만4천톤 이상으로 1조3천억 배럴의 원유와 맞먹는 에너지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 원유 매장량의 5배에 해당합니다.
두 번째, WNN 보도 내용입니다. 중국 원자력 국영기업 중국핵공업그룹과 러시아 원자력 국영기업 로사톰은 원자력 사업 전반에 대한 기술 및 인력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협약은 중국 CNNC 대표단의 러시아 방문 기간 중 체결되었으며, 중국의 원자력 발전 확대 계획에 러시아 로사톰이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러시아는 이미 중국 내 원자로 4기를 건설했으며, 추가로 4기를 건설 중입니다. 특히 로사톰은 중국의 새로운 폐쇄핵연료주기 원자로 개발에도 기술을 제공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세 번째, 에너지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유럽연합 집행위는 유럽 내 소형모듈원자로 도입 가속화를 목표로 출범한 SMR 산업연합에서 향후 5년간 추진할 10대 구체적 계획을 담은 전략행동계획을 발표했습니다. 10대 행동계획에는 실증 프로젝트 발굴, 시험 인프라 확보, 기술기준 제정, 공급망 플랫폼 구축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공동 안전성 평가와 연료 설계 표준화 등이 주요 과제로 다뤄집니다. SMR 산업연합은 2030년 초까지 유럽 내 SMR 개발 촉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차세대 원자력) 사용 후 핵연료 재활용 기술 특허동향 분석
다음으로 차세대 원자력 분야의 사용 후 핵연료 재활용 기술 특허동향 분석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국적별 특허출원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이 59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며 3.2퍼센트의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러시아는 32건으로 16.7퍼센트, 일본은 20건으로 4.6퍼센트, 한국은 14건으로 0.0퍼센트, 미국는 13건으로 13.0퍼센트를 기록했습니다. 전 세계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현황을 살펴보면, 울트라세이프뉴클리어가 17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며 27.4퍼센트의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중국국가핵전공사는 9건으로 14.5퍼센트, 웨스팅하우스는 7건으로 11.3퍼센트, 래디언트 인더스트리는 5건으로 8.1퍼센트, BWX테크놀로지는 5건으로 8.1퍼센트를 기록했습니다. 국내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현황에서는 울산과학기술원이 4건으로 28.6퍼센트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한국원자력연구원은 3건으로 21.4퍼센트, 한국과학기술원은 2건으로 14.3퍼센트, 한국수력원자력은 2건으로 14.3퍼센트를 기록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