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디스플레이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트위터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디스플레이 분야 이미지
다음은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입니다.
첫 번째, 조선일보 보도 내용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마이크로 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387억 6천만 원, 확장현실에 27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여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 과제 공모를 개시했습니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메타버스용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차세대 모빌리티용 OLED,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및 생태계 구축 등으로 구분되며 연구 기간은 1년에서 4년입니다. 정부는 4월에서 5월 중 지원 대상을 선정해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이며, 기업은 매출의 일정 비율을 기술료로 정부에 납부해야 합니다.
두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한양대학교, 연세대학교, 서강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고밀도 픽셀에서도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OLED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연구팀은 OLED 소자 양극에서 정공을 발광층으로 전달하는 정공전당층 소재를 새롭게 개발하여 픽셀 간섭 현상을 획기적으로 개선했고, 인치당 픽셀 수 10,000개 이상의 초미세 패턴 구현이 가능하게 했습니다. 또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활용해 6인치 실리콘 기판에 대면적 스케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세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초저전력 웨어러블 AI 디스플레이를 개발했습니다. 기존 스마트워치보다 전력 소모량이 3만 분의 1 수준에 불과하며, 센서 감지, 연산, 디스플레이 출력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인공신경망 기반 엣지 컴퓨팅 기술을 활용합니다. 기존에는 기능이 개별적으로 작동하고 데이터 송수신 기능 포함으로 전력 소모가 큰 문제였습니다. 개발된 디스플레이 기기는 인공신경망을 통해 입력된 자극을 실시간으로 학습하여 결과를 빛의 강도와 색상으로 출력할 수 있어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합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 기술 특허동향 분석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의 마이크로 LED 기술의 2013년에서 2022년 사이 특허출원 동향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출원 동향의 경우, 2013년 674건에서 2021년 2,616건으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2년에 2,271건으로 다소 감소했습니다.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국가는 전체의 32%를 차지한 중국이며, 이어 한국 23%, 미국 16%, 일본 12%, 대만 10% 순입니다.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동향은 전 세계를 기준으로 한국의 삼성디스플레이가 954건의 특허출원과 6.5%의 점유율로 1순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한국의 LG디스플레이, 중국의 비오이, 중국의 티씨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