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디스플레이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디스플레이 분야 이미지
다음은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입니다.
첫 번째, 전자신문 보도 내용입니다. 중국 제이드버드디스플레이(JBD)는 최근 ‘로드러너’라는 신규 브랜드를 출시하며, 1만160PPI 지원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개발을 발표했습니다. 출시된 디스플레이는 ‘레도스’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실리콘 기판 위에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초소형 LED를 배치하고, 픽셀 간 간격을 2.5 마이크로미터로 설정했습니다. 백플레인 전력 소비는 18밀리와트로, 에너지 소비를 저감하는 특징을 지닙니다. JBD는 2022년에 9천2백만 달러를 투자하여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생산라인을 건설하고, 지난해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레도스 패널 양산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두 번째, 디일렉 보도 내용입니다. 중국 디스플레이 제조사 TCL CSOT는 광저우에서 295억 위안(약 5조7천억원)을 투자한 세계 최초의 8.6세대 잉크젯 프린팅 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프로젝트 착공식을 개최했습니다. CSOT는 행사에서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제조한 28인치 4K 듀얼 폴딩 OLED를 처음 공개했으며, T8 프로젝트의 양산 목표를 2027년 4분기로 설정했습니다. 잉크젯 프린팅 OLED 제품은 모니터, 노트북, 태블릿 등 중형 디스플레이 시장을 공략할 예정입니다.
세 번째, 전자신문 보도 내용입니다. UNIST, 한전, KAIST, 수원대 공동 연구팀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내 투명전극의 전기전도도와 내구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은 나노와이어 전극을 에틸렌글리콜 용액으로 손쉽게 코팅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은 나노와이어를 에틸렌글리콜 용액에 담가 빠르게 회전시켜 코팅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실험 결과, 전기전도도는 2배 향상되고,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내구도가 유지되는 효과가 검증되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PVP 절연막의 단점인 전류 단절과 높은 저항값 등을 개선한 것으로, 복잡한 처리 없이 제작 가능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센서, 투명 히터 등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 패널 기술 특허동향 분석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 마이크로 LED 패널 기술 특허동향 분석을 소개드립니다.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의 TCL CSOT는 400건으로 8.1퍼센트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으며, 이어 대만의 플레이니트라이드는 347건으로 7.0퍼센트, 중국의 제이드버드디스플레이는 296건으로 6.0퍼센트를 기록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중국의 비오이는 281건으로 5.7퍼센트, LG디스플레이와 LG전자는 211건으로 4.3퍼센트를 차지했습니다. 그 밖에 포인트엔지니어링은 158건으로 3.2퍼센트,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는 142건으로 2.9퍼센트, 서울반도체는 113건으로 2.3퍼센트, 캐나다의 뷰리얼 91건으로 1.8퍼센트를 기록했으며, 미국의 애플은 84건으로 1.7퍼센트를 차지했습니다. 국내 출원인별 현황에서는 LG디스플레이와 LG전자가 211건으로 23.5퍼센트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으며, 이어 포인트엔지니어링은 158건으로 17.6퍼센트,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는 142건으로 15.8퍼센트를 기록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서울반도체는 113건으로 12.6퍼센트를 차지했으며, 한국기계연구원은 47건으로 5.2퍼센트, 한국광기술원은 41건으로 4.6퍼센트를 기록했습니다. 그 밖에 루멘스는 36건으로 4.0퍼센트, 국민대는 19건으로 2.1퍼센트를 차지했으며, 서울바이오시스는 15건으로 1.7퍼센트, 큐엠씨는 11건으로 1.2퍼센트를 차지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