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수소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수소 분야 이미지
다음은 수소 분야입니다.
첫 번째, 니혼게이자이 보도 내용입니다. 미국 비영리 단체 브레이크스루 에너지가 일본 정부와 협력을 통해 2026년부터 탈탄소화 연구 지원을 추진합니다. 브레이크스루 에너지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일본에 연구비를 출연하여 바이오매스, 이산화탄소 회수, 수소 분야에서 기술 연구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대학 벤처와 비즈니스 모델 자문을 통해 연구와 실용화를 연결하고, 일본 혁신 기술의 미국 시장 진출 경로를 개척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두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산업부 주관 2025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와 연료전지 핵심 소재 국산화 성과를 공개했습니다. 한수원은 2021년부터 SK에코플랜트, 블룸에너지, 블룸SK퓨어셀과 협약을 체결하여 국산화 작업을 추진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전해질 등 핵심 소재 국산화율 50퍼센트를 달성했습니다. 이번 성과는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 기반 마련에도 기여하며, 한수원은 향후 다양한 수소 융복합 사업과 국산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세 번째, 정책브리핑 보도 내용입니다. 산업부는 부산에서 열린 APEC 에너지장관회의에서 산업 탈탄소화, 미래 연료, 에너지와 인공지능 등 핵심 주제로 글로벌 수소 경제 확산 등 청정에너지 정책 추진 강화를 논의했습니다. 회의에서는 수소 산업 발전을 위한 가격 경쟁력 확보와 공급망 구축 등 새로운 수소 에너지 시스템 전환 관련 전략적 인프라 구축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며, 이번 회의 주최는 한국이 글로벌 에너지 정책 추진을 주도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수소)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기술 특허동향 분석
수소 분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기술 특허동향 분석 결과를 소개드립니다. 주요 국적별 시계열 특허출원은 2014년 538건에서 2016년 515건, 2017년 451건으로 다소 감소했으며, 2019년 478건, 2020년 390건으로 변동을 보였습니다. 이후 2021년 419건, 2022년 494건으로 증가했으나 2023년에는 427건을 기록했습니다. 전 세계 주요 출원인별 현황을 보면, 일본 오사카가스가 225건으로 4.8퍼센트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일본 토토 206건 4.4퍼센트, 한국 LG화학 186건 4.0퍼센트, 미국 블룸에너지 182건 3.9퍼센트, 일본 닛산자동차 177건 3.8퍼센트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출원인별 현황은 LG화학이 186건으로 30.5퍼센트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43건 7.1퍼센트, LG전자 29건 4.8퍼센트, 케이세라셀 26건 4.3퍼센트, 에프씨아이 22건 3.6퍼센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22건 3.6퍼센트, 경동나비엔 17건 2.8퍼센트, 한국과학기술원 17건 2.8퍼센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6건 2.6퍼센트, 포스코홀딩스 10건 1.6퍼센트를 기록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