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수소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수소 분야 이미지
다음은 수소 분야입니다.
첫 번째, 더구루 보도 내용입니다. HD현대인프라코어와 미국 우드워즈가 차세대 수소 엔진을 공동 개발합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미국 엔진 제어기 전문 기업 우드워즈와의 협력을 통해 디젤 엔진을 대체하고 탄소 배출을 감축할 수 있는 차세대 수소 엔진 공동 개발을 추진합니다. 생산 단가가 낮은 저순도 수소를 사용하는 수소 엔진은 경제성이 높아 일반 자동차나 건설기계에 탑재될 수 있습니다. 수소 엔진 시장은 2037년 712억 달러, 약 97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2022년부터 차량용 수소 엔진을 개발하고 있으며, 내년에 트럭용 수소 엔진을 양산하고 2027년까지 고출력 수소 엔진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두 번째, 투데이에너지 보도 내용입니다. 일본의 미쓰이가 수소 연료전지로 일본 최초의 탄소중립 항만 실증을 진행했습니다. 미쓰이는 요코하마항의 러버 타이어 갠트리 크레인에서 기존 디젤 엔진 발전기를 제거하고 수소 연료전지 동력 시스템을 탑재하는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했습니다. 이는 일본 국토교통성의 탄소중립 항만 전략의 핵심 과제로, 항만 물류의 탈탄소화와 안전 효율성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 장비를 수소 연료전지로 개조함으로써 탄소 배출 저감과 함께 일본 및 동아시아 항만의 탈 화석 연료 전환과 기술 협력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 번째, 하이드로젠인사이트 보도 내용입니다. 오스트리아에서 세계 최초로 수소환원제철 가공 철로가 설치되었습니다. 오스트리아 연방철도와 철강업체 보에스타핀는 오스트리아 린츠 중앙역에 세계 최초로 수소환원제철 기술로 가공한 철로를 설치했습니다. 코크스 대신 수소를 사용하여 철을 생산하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이산화탄소 대신 물을 배출하는 혁신적인 기술로, 탄소중립 사회로 가기 위한 핵심 기술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재는 인프라 부족 등으로 상용화까지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한국은 지난 6월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실증 사업이 총예산 8,146억 원 규모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여 본격 추진 궤도에 올랐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수소) 수소환원제철 기술 특허동향 분석
수소 분야의 수소환원제철 기술 특허동향 분석 결과를 소개드립니다. 국적별 특허출원 동향을 보면, 2014년 15건에서 2020년 61건으로 증가했으며, 2021년 138건, 2022년 168건으로 급격히 늘어난 이후 2023년에는 110건으로 다소 감소했습니다. 주요 출원인별 현황을 살펴보면, 전 세계적으로는 스웨덴의 하이브리트가 55건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미국의 카본 테크놀로지 30건 일본의 제이에프이스틸 28건 닛폰스틸 26건 오스트리아의 프라이메탈스 25건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출원인별로는 포스코가 22건으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으며, 포스코E&C, 현대제철,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연세대, 국립부경대 등이 각각 1건씩 출원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