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집증후군의 온상 건축마감재의 대변신
담당부서
기계금속건설심사본부
연락처
481-5374
작성일
2007-06-20
조회수
3040
- 건축마감재 분야의 새집증후군관련 출원 증가 -
새로 지은 집에 입주한 거주자들이 현기증, 두통, 호흡기질환을 호소하게 되는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에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출원이 늘고 있다.
새집증후군의 주요원인인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은 페인트나 단열재 혹은 가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무엇보다도 건축마감재로부터 나오는 유해물질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러한 새집증후군을 해결하기 위한 건축마감재 분야의 출원은 1967년부터 1999년까지 총 22건에 불과하였으나, 2000년 이후 해마다 증가하여 2004년부터는 매년 40건 이상이 출원되고 있다.
이들 출원은 대부분 건축마감재를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등이 방출되는 천연재료를 사용하면서도 강도가 낮아 시공이 어려운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것이다.
또 한편으로 천연재료를 사용함에 따른 건축비 상승과 시공상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해하는 기능성 재료를 건축마감재에 적용하는 기술도 다수 출원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이산화티탄(TiO2)을 사용한 광촉매층을 마감재에 형성하여 벤젠·톨루엔·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해하는 기술이 출원되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분야의 출원인을 법인과 개인으로 구분하여 보면, 개인에 의한 출원이 법인에 의한 출원보다 2배 이상 많은 70%를 차지하고 있어서, 기업에서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기술개발을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국민은 하루의 95%인 22시간 54분을 실내에서 보내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집을 예쁘게 꾸미는 일도 중요하지만 유해물질 없는 쾌적한 공간을 만드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가질 때이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기계금속건설심사본부 건설기술심사팀 사무관 김인천 (042-481-8218)
새로 지은 집에 입주한 거주자들이 현기증, 두통, 호흡기질환을 호소하게 되는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에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출원이 늘고 있다.
새집증후군의 주요원인인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은 페인트나 단열재 혹은 가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무엇보다도 건축마감재로부터 나오는 유해물질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러한 새집증후군을 해결하기 위한 건축마감재 분야의 출원은 1967년부터 1999년까지 총 22건에 불과하였으나, 2000년 이후 해마다 증가하여 2004년부터는 매년 40건 이상이 출원되고 있다.
이들 출원은 대부분 건축마감재를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등이 방출되는 천연재료를 사용하면서도 강도가 낮아 시공이 어려운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것이다.
또 한편으로 천연재료를 사용함에 따른 건축비 상승과 시공상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해하는 기능성 재료를 건축마감재에 적용하는 기술도 다수 출원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이산화티탄(TiO2)을 사용한 광촉매층을 마감재에 형성하여 벤젠·톨루엔·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해하는 기술이 출원되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분야의 출원인을 법인과 개인으로 구분하여 보면, 개인에 의한 출원이 법인에 의한 출원보다 2배 이상 많은 70%를 차지하고 있어서, 기업에서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기술개발을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국민은 하루의 95%인 22시간 54분을 실내에서 보내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집을 예쁘게 꾸미는 일도 중요하지만 유해물질 없는 쾌적한 공간을 만드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가질 때이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기계금속건설심사본부 건설기술심사팀 사무관 김인천 (042-481-8218)
다음글
상담센터(1544-8080)
담당자 : 대변인 최현경 | 042-481-503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