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의 능력은 끝이 없다!
담당부서
화학생명공학심사본부
연락처
1111-1234
작성일
2007-07-20
조회수
3142
- 기능성 섬유소재 출원의 급격한 증가 -
높아진 소득 수준과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해 요즘 사회 각 분야에서 ‘웰빙’ 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 발맞추어 요즘 섬유제품도 단순한 피복의 개념을 뛰어넘어 다양한 기능성을 갖춤으로써 착용자에게 안락함, 쾌적함 등을 제공하는 기능성 섬유(붙임 1 참조)제품으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실제로, 등산, 레포츠 등 다양한 야외활동을 위한 스포츠·레저용 섬유제품에는 땀을 신속히 흡수하고 이를 체외로 배출시켜 쾌적함을 유지하는 흡한속건 섬유소재, 땀은 외부로 배출하면서 외부의 비바람은 차단하는 투습발수 섬유소재, 땀 냄새 및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는 항균소취 섬유소재가 이미 사용되고 있고, 인체에 이로운 음이온이나 원적외선 등을 지속적으로 방사하여 사람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음이온/원적외선 방사 섬유소재가 적용된 섬유제품도 웰빙 붐을 타고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특허 및 실용신안 출원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2-2006) 기능성 섬유에 관한 특허 및 실용신안 출원은 257건으로 2001년 이전의 같은 기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이 중에서 국내 기업 및 국내 개인 출원인에 의한 출원이 대다수를 차지(92.1%)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붙임 2 및 3 참조).
구체적인 기술내용별로 기능성 섬유소재관련 출원건수(전체 379건(1991년 이후))를 살펴보면, 음이온/원적외선 방사 섬유소재는 출원건수가 171건으로 전체 출원건수의 45.1%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흡한속건 섬유소재 83건(21.9%), 항균소취 섬유소재 75건(19.8%), 투습발수 섬유소재 50건(13.2%) 순이며, 최근에는 온도조절 섬유소재나 천연 기능성 섬유소재에 대해서도 출원되고 있는 등,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섬유소재에 대한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붙임 4 참조).
요즘은 공상과학 소설이나 영화에 나타난 가상현실이 빠르게 현실화되는 시대다. 앞으로 머지않은 장래에 우리가 매일 입고 다니는 섬유제품도 다양한 기능성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이 융합된 디지털 인공지능 소재로까지 발전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화학생명공학심사본부 섬유생활용품심사팀 사무관 최중환 (042-481-8408)
높아진 소득 수준과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해 요즘 사회 각 분야에서 ‘웰빙’ 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 발맞추어 요즘 섬유제품도 단순한 피복의 개념을 뛰어넘어 다양한 기능성을 갖춤으로써 착용자에게 안락함, 쾌적함 등을 제공하는 기능성 섬유(붙임 1 참조)제품으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실제로, 등산, 레포츠 등 다양한 야외활동을 위한 스포츠·레저용 섬유제품에는 땀을 신속히 흡수하고 이를 체외로 배출시켜 쾌적함을 유지하는 흡한속건 섬유소재, 땀은 외부로 배출하면서 외부의 비바람은 차단하는 투습발수 섬유소재, 땀 냄새 및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는 항균소취 섬유소재가 이미 사용되고 있고, 인체에 이로운 음이온이나 원적외선 등을 지속적으로 방사하여 사람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음이온/원적외선 방사 섬유소재가 적용된 섬유제품도 웰빙 붐을 타고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특허 및 실용신안 출원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2-2006) 기능성 섬유에 관한 특허 및 실용신안 출원은 257건으로 2001년 이전의 같은 기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이 중에서 국내 기업 및 국내 개인 출원인에 의한 출원이 대다수를 차지(92.1%)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붙임 2 및 3 참조).
구체적인 기술내용별로 기능성 섬유소재관련 출원건수(전체 379건(1991년 이후))를 살펴보면, 음이온/원적외선 방사 섬유소재는 출원건수가 171건으로 전체 출원건수의 45.1%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흡한속건 섬유소재 83건(21.9%), 항균소취 섬유소재 75건(19.8%), 투습발수 섬유소재 50건(13.2%) 순이며, 최근에는 온도조절 섬유소재나 천연 기능성 섬유소재에 대해서도 출원되고 있는 등,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섬유소재에 대한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붙임 4 참조).
요즘은 공상과학 소설이나 영화에 나타난 가상현실이 빠르게 현실화되는 시대다. 앞으로 머지않은 장래에 우리가 매일 입고 다니는 섬유제품도 다양한 기능성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이 융합된 디지털 인공지능 소재로까지 발전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화학생명공학심사본부 섬유생활용품심사팀 사무관 최중환 (042-481-8408)
상담센터(1544-8080)
담당자 : 대변인 최현경 | 042-481-503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