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기 세계 시장점유율 1위가 보인다.
담당부서
기계금속건설심사본부
연락처
481-5374
작성일
2007-07-30
조회수
3379
북미의 대형 가전 유통업체에서 LG전자의 '스팀트롬 세탁기'의 판매 점유율이 50%를 넘었고 판매 단가도 가장 높다고 한다.(중앙일보 2007.04.23 보도, 파이낸셜 뉴스 2007.04.24 보도)
한국산 세탁기가 해외에서 인정받는 비결은 무엇일까?
그것은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한국 가전 업체의 끊임없는 기술 개발 노력이었음을 특허출원 분석 자료를 보면 알 수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에 따르면 1980년 이후 세탁기 분야 실용신안/특허 출원 건수는 1997년 말 외환위기 시 다소 주춤하였으나(붙임 1) 그 후 현재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외환위기 이전에는 전체 출원 중 소발명이라 할 수 있는 실용신안의 출원이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외환위기 이후 특허 출원 수가 급격히 증가해 최근 2년간 출원에서는 특허 출원 비율이 90% 이상으로 실용신안 출원에 비해 압도적이다. 이렇게 특허 출원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은 기존 기술의 개량 발명, 소위 소발명 보다는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 기술 개발에 업체가 주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붙임 2)
출원인에 따른 출원 분포를 보면 국내 업체의 출원이 전체 출원의 95% 이상으로 세탁기 분야 기술은 해외 의존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업체 중 LG전자의 출원수를 보면 외환위기 이전에 전체 출원의 23%였던 것이 외환위기 이후에는 54%를 차지하고 있어 국내 업체 중 세탁기 분야 기술 개발에 가장 주력한 업체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북미 지역에서 '세탁기의 혁신을 대표하는 제품'으로 인정받으며 시장을 석권할 수 있었던 것이다.(붙임 3)
외환 위기 이후 최근 9년간 기술 분류 별 출원동향을 보면 임펠러 형 세탁기 관련 기술 출원은 감소하고 연속 조작제어 장치, 모터, 전기 장치, 그리고 건조 기능에 관련된 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드럼형 혹은 전자동세탁기의 개발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붙임 4)
국내 업체들은 은나노 세탁기, 직결식 모터 드럼 세탁기, 그리고 스팀 삶음 기능 세탁기 등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선보이며 국내외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LG전자와 대우일렉트로닉스의 세탁기 특허권 분쟁(서울신문, 2007.01.03)은 국내 업체들 사이에서도 기술력 확보와 획득된 권리 보호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기술개발 의지와 도전 정신으로 무장한 국내 가전업체들이 세계 세탁기 시장 점유율 1위, 2위인 월풀과 일렉트로룩스를 앞지르고 세계 시장에서 우뚝 서는 날이 머지않아 다가올 것으로 전망된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기계금속건설심사본부 원동기계심사팀 사무관 최진환 (042-481-8433)
한국산 세탁기가 해외에서 인정받는 비결은 무엇일까?
그것은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한국 가전 업체의 끊임없는 기술 개발 노력이었음을 특허출원 분석 자료를 보면 알 수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에 따르면 1980년 이후 세탁기 분야 실용신안/특허 출원 건수는 1997년 말 외환위기 시 다소 주춤하였으나(붙임 1) 그 후 현재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외환위기 이전에는 전체 출원 중 소발명이라 할 수 있는 실용신안의 출원이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외환위기 이후 특허 출원 수가 급격히 증가해 최근 2년간 출원에서는 특허 출원 비율이 90% 이상으로 실용신안 출원에 비해 압도적이다. 이렇게 특허 출원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은 기존 기술의 개량 발명, 소위 소발명 보다는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 기술 개발에 업체가 주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붙임 2)
출원인에 따른 출원 분포를 보면 국내 업체의 출원이 전체 출원의 95% 이상으로 세탁기 분야 기술은 해외 의존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업체 중 LG전자의 출원수를 보면 외환위기 이전에 전체 출원의 23%였던 것이 외환위기 이후에는 54%를 차지하고 있어 국내 업체 중 세탁기 분야 기술 개발에 가장 주력한 업체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북미 지역에서 '세탁기의 혁신을 대표하는 제품'으로 인정받으며 시장을 석권할 수 있었던 것이다.(붙임 3)
외환 위기 이후 최근 9년간 기술 분류 별 출원동향을 보면 임펠러 형 세탁기 관련 기술 출원은 감소하고 연속 조작제어 장치, 모터, 전기 장치, 그리고 건조 기능에 관련된 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드럼형 혹은 전자동세탁기의 개발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붙임 4)
국내 업체들은 은나노 세탁기, 직결식 모터 드럼 세탁기, 그리고 스팀 삶음 기능 세탁기 등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선보이며 국내외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LG전자와 대우일렉트로닉스의 세탁기 특허권 분쟁(서울신문, 2007.01.03)은 국내 업체들 사이에서도 기술력 확보와 획득된 권리 보호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기술개발 의지와 도전 정신으로 무장한 국내 가전업체들이 세계 세탁기 시장 점유율 1위, 2위인 월풀과 일렉트로룩스를 앞지르고 세계 시장에서 우뚝 서는 날이 머지않아 다가올 것으로 전망된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기계금속건설심사본부 원동기계심사팀 사무관 최진환 (042-481-8433)
상담센터(1544-8080)
담당자 : 대변인 최현경 | 042-481-503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