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리한 검침, 안전한 검침
담당부서
전기전자심사본부
연락처
1111-1234
작성일
2007-09-11
조회수
3185
편리한 검침, 안전한 검침
- 원격자동검침기술 특허출원 활발 -
기존에는 전력ㆍ수도ㆍ난방 및 가스 등의 사용량을 검침원이 가정이나 사무실을 직접 방문하여 육안과 수작업으로 처리함에 따라 검침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사생활 침해나 검침원을 가장한 범죄사고 등 많은 불편함과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원격자동검침기술을 채택한 검침시스템의 도입으로 이러한 검침의 비효율성과 검침원을 가장한 범죄사고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원격자동검침기술은 가정이나 사무실ㆍ공장 등에 설치된 디지털 계량기를 이용해 전기ㆍ가스ㆍ수도 등의 사용량을 전화선, 전력선, 전용선, 무선 등의 전송매체를 통해 원격지에서 검침하는 기술로 검침의 정확성 제고는 물론 측정시간의 단축 등 검침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에 따르면, 원격자동검침기술의 출원은 2000년을 기점으로 전년대비 250% 정도의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이후 꾸준한 출원건수를 보이고 있는 등 첨단 디지털기술과 유ㆍ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원격자동검침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자동검침의 기술분야별 출원을 살펴보면 계량기 기술이 24%, 원격자동검침 장치 및 시스템 기술이 45%, 원격자동검침 방법이 20%, 기타분야 11%로 기술분야별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는 원격자동검침 관련기술이 초기의 태동기를 지나 발전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꾸준한 출원건수를 보이는 것은 한전, 도시가스협회 등 관련사업자에 의한 원격자동검침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초고속 인터넷망 등 유ㆍ무선 통신기술 및 첨단 디지털기술의 급속한 발전 등으로 관련 기술개발이 비교적 용이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홈네트워크 분야가 정부의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과제의 하나로 선정됨에 따라 원격자동검침분야 시장의 확대를 예상하는 관련업체들이 지속적인 기술개발에 나서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원격자동검침기술은 여러 가지의 계량기(수도, 온수, 전력, 가스 등)를 하나의 기기로 통합하고, 각종 보안장치(방범, 화재 등)를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전기전자심사본부 유비쿼터스심사팀 사무관 오응기 (042-481-5929)
- 원격자동검침기술 특허출원 활발 -
기존에는 전력ㆍ수도ㆍ난방 및 가스 등의 사용량을 검침원이 가정이나 사무실을 직접 방문하여 육안과 수작업으로 처리함에 따라 검침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사생활 침해나 검침원을 가장한 범죄사고 등 많은 불편함과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원격자동검침기술을 채택한 검침시스템의 도입으로 이러한 검침의 비효율성과 검침원을 가장한 범죄사고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원격자동검침기술은 가정이나 사무실ㆍ공장 등에 설치된 디지털 계량기를 이용해 전기ㆍ가스ㆍ수도 등의 사용량을 전화선, 전력선, 전용선, 무선 등의 전송매체를 통해 원격지에서 검침하는 기술로 검침의 정확성 제고는 물론 측정시간의 단축 등 검침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에 따르면, 원격자동검침기술의 출원은 2000년을 기점으로 전년대비 250% 정도의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이후 꾸준한 출원건수를 보이고 있는 등 첨단 디지털기술과 유ㆍ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원격자동검침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자동검침의 기술분야별 출원을 살펴보면 계량기 기술이 24%, 원격자동검침 장치 및 시스템 기술이 45%, 원격자동검침 방법이 20%, 기타분야 11%로 기술분야별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는 원격자동검침 관련기술이 초기의 태동기를 지나 발전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꾸준한 출원건수를 보이는 것은 한전, 도시가스협회 등 관련사업자에 의한 원격자동검침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초고속 인터넷망 등 유ㆍ무선 통신기술 및 첨단 디지털기술의 급속한 발전 등으로 관련 기술개발이 비교적 용이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홈네트워크 분야가 정부의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과제의 하나로 선정됨에 따라 원격자동검침분야 시장의 확대를 예상하는 관련업체들이 지속적인 기술개발에 나서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원격자동검침기술은 여러 가지의 계량기(수도, 온수, 전력, 가스 등)를 하나의 기기로 통합하고, 각종 보안장치(방범, 화재 등)를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종합 시스템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전기전자심사본부 유비쿼터스심사팀 사무관 오응기 (042-481-5929)
다음글
상담센터(1544-8080)
담당자 : 대변인 최현경 | 042-481-503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