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으로 만든 보약 『청국장』
담당부서
화학생명공학심사본부
연락처
1111-1234
작성일
2007-11-15
조회수
3243
콩으로 만든 보약 『청국장』
- 퓨전 식품으로 다시 태어나는 전통 청국장 -
특유의 냄새로 인하여 집에서 만들어 끓여 먹기에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았던 청국장이 이제는 최고의 건강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에 따르면 기존에 단순한 장류로 인식되어 온 청국장에 다양한 기술을 접목하여 냄새의 제거는 물론, 기능성과 기호성이 개선된 새로운 개념의 청국장에 관한 특허출원이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국장은 자연식품임과 동시에 발효식품으로 우리의 대표적인 전통식품 중의 하나이다. 콩을 발효시킨 청국장은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발효에 의하여 흡수율이 높으며, 청국장에 포함된 미생물, 효소 또는 생리활성물질이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청국장은 “콩으로 만든 보약”으로써 웰빙 식단의 주인공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고, 그 관련 제품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어 청국장의 소비층을 넓혀나가고 있다.
그 예로, 건강보조식품으로 상시 섭취할 수 있게 제조된 청국장 가루와 청국장 환이 있고, 어린이를 비롯한 젊은 층의 입맛을 겨냥한 청국장 아이스크림, 과자, 초콜릿, 피자 등이 있다.
근래 청국장 관련 특허출원의 건수를 보면, 2000년부터 2006년까지 7년간 총 288건이 출원되었는데, 2004년 79건, 2005년 67건 그리고 2006년 84건이 출원되어 최근 3년간 출원 건수가 근래 7년간 출원 건수의 대략 80%를 차지하고 있어 청국장 관련 출원이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국장 관련 특허출원의 기술 유형을 보면, 증자된 대두 원료에 신규 미생물 및 기능성이 알려진 물질들을 첨가하거나 발효 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청국장 고유의 냄새를 제거하는 한편 기능성 및 기호성을 향상시킨 청국장에 대한 특허출원이 58%를 차지하여, 일단 청국장 자체의 품질 개선에 대한 특허출원이 대종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청국장에 동충하초, 인삼 등의 한약재 또는 건강 증진 효과가 있는 각종 천연물질들을 혼합하여 청국장 분말, 환 또는 캡슐로 제조함으로써 보존성, 취식성 및 기능성이 향상된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특허출원이 1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초콜릿, 과자, 빵,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두유 등의 간식류에 청국장을 가공하여 이용하고자 한 출원이 17%를 차지하여 최근 들어 젊은 층을 겨냥한 다양한 형태의 청국장 이용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밖에 청국장을 스파게티, 피자, 자장면, 김치 등에 첨가하여 기존 식품의 소스 또는 양념으로 이용하는 형태의 특허출원이 7%를 차지하고 있고, 기타 미용용품 등에 관한 기술내용이 4%이다.
이와 같은 청국장 관련 특허출원의 기술유형을 보면, 단순히 찌개로 이용되어 온 청국장이 식품 가공 기술과 접목되어 다양한 변신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국장 관련 특허출원의 출원인을 구분해 보면, 근래 7년간 청국장 관련 특허출원 288건 중 개인 출원이 233건, 중소기업 출원이 43건 그리고 연구기관에 의한 출원이 12건이다. 이는 청국장 관련 기술의 개발이 주로 개인적 수준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 기업 또는 연구기관 수준에서는 아직 청국장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낮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우수한 전통식품인 청국장에 대한 조직적이고 심화된 기술개발이 아쉬운 실정이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화학생명공학심사본부 식품생물자원심사팀 사무관 염금희 (042-481-5550)
- 퓨전 식품으로 다시 태어나는 전통 청국장 -
특유의 냄새로 인하여 집에서 만들어 끓여 먹기에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았던 청국장이 이제는 최고의 건강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에 따르면 기존에 단순한 장류로 인식되어 온 청국장에 다양한 기술을 접목하여 냄새의 제거는 물론, 기능성과 기호성이 개선된 새로운 개념의 청국장에 관한 특허출원이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국장은 자연식품임과 동시에 발효식품으로 우리의 대표적인 전통식품 중의 하나이다. 콩을 발효시킨 청국장은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발효에 의하여 흡수율이 높으며, 청국장에 포함된 미생물, 효소 또는 생리활성물질이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청국장은 “콩으로 만든 보약”으로써 웰빙 식단의 주인공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고, 그 관련 제품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어 청국장의 소비층을 넓혀나가고 있다.
그 예로, 건강보조식품으로 상시 섭취할 수 있게 제조된 청국장 가루와 청국장 환이 있고, 어린이를 비롯한 젊은 층의 입맛을 겨냥한 청국장 아이스크림, 과자, 초콜릿, 피자 등이 있다.
근래 청국장 관련 특허출원의 건수를 보면, 2000년부터 2006년까지 7년간 총 288건이 출원되었는데, 2004년 79건, 2005년 67건 그리고 2006년 84건이 출원되어 최근 3년간 출원 건수가 근래 7년간 출원 건수의 대략 80%를 차지하고 있어 청국장 관련 출원이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국장 관련 특허출원의 기술 유형을 보면, 증자된 대두 원료에 신규 미생물 및 기능성이 알려진 물질들을 첨가하거나 발효 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청국장 고유의 냄새를 제거하는 한편 기능성 및 기호성을 향상시킨 청국장에 대한 특허출원이 58%를 차지하여, 일단 청국장 자체의 품질 개선에 대한 특허출원이 대종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청국장에 동충하초, 인삼 등의 한약재 또는 건강 증진 효과가 있는 각종 천연물질들을 혼합하여 청국장 분말, 환 또는 캡슐로 제조함으로써 보존성, 취식성 및 기능성이 향상된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특허출원이 1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초콜릿, 과자, 빵,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두유 등의 간식류에 청국장을 가공하여 이용하고자 한 출원이 17%를 차지하여 최근 들어 젊은 층을 겨냥한 다양한 형태의 청국장 이용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밖에 청국장을 스파게티, 피자, 자장면, 김치 등에 첨가하여 기존 식품의 소스 또는 양념으로 이용하는 형태의 특허출원이 7%를 차지하고 있고, 기타 미용용품 등에 관한 기술내용이 4%이다.
이와 같은 청국장 관련 특허출원의 기술유형을 보면, 단순히 찌개로 이용되어 온 청국장이 식품 가공 기술과 접목되어 다양한 변신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국장 관련 특허출원의 출원인을 구분해 보면, 근래 7년간 청국장 관련 특허출원 288건 중 개인 출원이 233건, 중소기업 출원이 43건 그리고 연구기관에 의한 출원이 12건이다. 이는 청국장 관련 기술의 개발이 주로 개인적 수준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 기업 또는 연구기관 수준에서는 아직 청국장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낮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우수한 전통식품인 청국장에 대한 조직적이고 심화된 기술개발이 아쉬운 실정이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화학생명공학심사본부 식품생물자원심사팀 사무관 염금희 (042-481-5550)
상담센터(1544-8080)
담당자 : 대변인 최현경 | 042-481-503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