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자료(상세)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밴드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2008년부터 발명·특허 특성화고 4개교 지원
담당부서
산업재산정책본부
연락처
481-5175
작성일
2007-12-12
조회수
3026
2008년부터 발명·특허 특성화고 4개교 지원
- ‘창의적 지식재산인력 양성’을 위해
특허청, 교육부, 4개 교육청간 업무협약(MOU) 체결 -

앞으로 고교 단계에서 체계적인 발명 및 특허분야 전문교육을 받은 창의적인 학생들이 양성되어 관련 산업계의 기술개발 및 특허관리 분야의 실무인력으로 진출이 기대된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은 교육인적자원부 및 4개 교육청과 2007.12.12(수) 특허청 회의실에서 「발명·특허 특성화 고교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할 발명 및 특허분야의 창의적 인력양성을 위해 상호 긴밀히 협력하기로 하였다.

이번에 체결되는 업무협약에 의하면 특허청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특성화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교원연수, 우수학생 유치 장학금 등 프로그램 예산을 1개교당 연간 3억원씩 지원하며

교육인적자원부와 교육청 등은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자율학교 지정, 필수 교원의 전보유예 조치, 산학겸임교사 등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제도적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특허청은 지난 6월, 현장실사 및 발표심사를 통해 삼일공고(수원), 대광공고(부산), 대덕전자기계공고(대전), 경남항공고(고성) 등 4개학교를 발명특허 특성화 프로그램 지원학교로 선정하였다.

이들 학교 중 대덕전자기계공고는 2007년부터 발명창작과를 운영중이며, 수원의 삼일공고도 2008년도 발명창작과 신입생 선발을 완료하였다. 경남항공고는 2009년에 학과 특성화를, 부산 대광공고는 2009년에 학교특성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허청은 발명특허 특성화의 원활한 운영 지원을 위해 2007년에 발명·특허 특성화고 교육과정, 교육프로그램, 학생선발 및 교사 연수 등 특성화고 운영방안을 마련하였으며, 2008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전문가 컨설팅, 공통 교재개발 등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4개 학교는 특허청이 제시한 산업재산권 취득활동, 우수학생 유치 등 9개 성과지표의 목표치를 자율적으로 설정하고 매년 학교 운영실적을 평가받는 성과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며

4개 학교간 관계자 협의회를 구성하여 교사 및 학생 연수 프로그램 운영, 발명캠프 등을 공동으로 개최하는 등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특허청 관계자는 4개의 발명·특허 특성화고가 전국 특성화고 성공모델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계획이며, 발명교육의 정규교육과정 반영(2007.2월, 교육인적자원부 제7차 교육과정 개정)과 더불어 우수 발명인재 양성 및 발명인력 저변확산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산업재산정책본부 산업재산인력팀 사무관 최철승 (042-481-5181)
미리보기 로딩 이미지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