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를 예방하는 환기장치
담당부서
기계금속건설심사본부
연락처
481-5374
작성일
2008-01-04
조회수
3539
아토피를 예방하는 환기장치
현대인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생활하며, 성인이 하루에 들이키고 내쉬는 공기의 양은 약 16kg(약 12,400 리터)으로, 하루에 먹고 마시는 물과 음식물인 2~4kg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이다.
최근 신축건물이 고층화, 고기밀화되고,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등의 유해한 건축자재로 시공됨에 따라, 유해한 공기에 노출되어 두통, 메스꺼움,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생하는 이른바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또는 빌딩 증후군(Building Syndrome)이 이슈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2003년에 대폭 개정하였고, 건설교통부에서는 2006년 2월13일에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여 24시간 지속환기가 가능한 자연환기설비 또는 기계환기설비를 의무화하고 환기횟수를 1일 0.7회 이상 확보하도록 규정하여, 아파트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환기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내보낼 때, 실내외 온도의 차이가 큰 여름과 겨울에,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에너지의 회수 또한 주요한 관심사이다.
환기와 버려지는 에너지의 회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급/배기 유로가 판과 판 사이에 형성된 판형 제품, 로터에 의해 배기공기의 폐열을 급기측으로 흡수하는 회전형 제품, 순환유체의 기화열을 이용하는 히트파이프형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그림1, 그림2 참조).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1990년 이후의 특허출원을 조사한 결과, 한국에는 511건, 일본에는 572건이 특허출원되었다.
우리나라에서 2002년 이전에는 매년 1~28건이 특허출원 되었으나, 2003년 이후부터 매년 82건~152건으로 그 출원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환기에 대한 인식과 관련 법규 강화에 따라 관련업계에서 다수 출원한 것으로 보인다(그림3 참조).
우리나라의 특허출원은 엘지전자가 43%로 가장 많이 출원하였으며, 대우일렉트로닉스와 삼성전자가 각각 11% 및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다수의 외국업체, 중소업체 및 개인이 출원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1990년 경에 이미 새집증후군이 대두되었으며, 이에 따라 1990년대에 매년 32~52건이 특허출원이 되었고, 2000년 이후에는 매년 3~30건으로 그 출원이 점차 감소되고 있다. 이는 환기설비에 의해 실내공기질의 개선효과를 거두었고 시장이 포화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그림4 참조)
아파트에서의 건강 및 에너지 절약에 관한 관심으로 인해,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중요성은 더해질 것으로 전망되며, 그 출원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기계금속건설심사본부 일반기계심사팀 사무관 신동혁 (042-481-8417)
현대인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생활하며, 성인이 하루에 들이키고 내쉬는 공기의 양은 약 16kg(약 12,400 리터)으로, 하루에 먹고 마시는 물과 음식물인 2~4kg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이다.
최근 신축건물이 고층화, 고기밀화되고,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등의 유해한 건축자재로 시공됨에 따라, 유해한 공기에 노출되어 두통, 메스꺼움,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생하는 이른바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또는 빌딩 증후군(Building Syndrome)이 이슈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2003년에 대폭 개정하였고, 건설교통부에서는 2006년 2월13일에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여 24시간 지속환기가 가능한 자연환기설비 또는 기계환기설비를 의무화하고 환기횟수를 1일 0.7회 이상 확보하도록 규정하여, 아파트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환기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내보낼 때, 실내외 온도의 차이가 큰 여름과 겨울에,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에너지의 회수 또한 주요한 관심사이다.
환기와 버려지는 에너지의 회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급/배기 유로가 판과 판 사이에 형성된 판형 제품, 로터에 의해 배기공기의 폐열을 급기측으로 흡수하는 회전형 제품, 순환유체의 기화열을 이용하는 히트파이프형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그림1, 그림2 참조).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1990년 이후의 특허출원을 조사한 결과, 한국에는 511건, 일본에는 572건이 특허출원되었다.
우리나라에서 2002년 이전에는 매년 1~28건이 특허출원 되었으나, 2003년 이후부터 매년 82건~152건으로 그 출원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환기에 대한 인식과 관련 법규 강화에 따라 관련업계에서 다수 출원한 것으로 보인다(그림3 참조).
우리나라의 특허출원은 엘지전자가 43%로 가장 많이 출원하였으며, 대우일렉트로닉스와 삼성전자가 각각 11% 및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다수의 외국업체, 중소업체 및 개인이 출원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1990년 경에 이미 새집증후군이 대두되었으며, 이에 따라 1990년대에 매년 32~52건이 특허출원이 되었고, 2000년 이후에는 매년 3~30건으로 그 출원이 점차 감소되고 있다. 이는 환기설비에 의해 실내공기질의 개선효과를 거두었고 시장이 포화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그림4 참조)
아파트에서의 건강 및 에너지 절약에 관한 관심으로 인해,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중요성은 더해질 것으로 전망되며, 그 출원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기계금속건설심사본부 일반기계심사팀 사무관 신동혁 (042-481-8417)
첨부파일
상담센터(1544-8080)
담당자 : 대변인 최현경 | 042-481-503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