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자료(상세)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밴드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이제부터 교통사고는 휴대폰이 책임진다
담당부서
정보통신심사본부
연락처
1111-1234
작성일
2008-01-23
조회수
3364
이제부터 교통사고는 휴대폰이 책임진다

최근 자동차 충돌사고를 휴대폰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기술이 출현하고 있다.

- 이미 우리 일상생활의 필수품이 되어 있는 휴대폰이 자동차 사고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처리하거나 줄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첨병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2007년 2월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 등록 대수는 1600만대를 넘어섰고, 경찰청 통계 데이터베이스에 의하면 2006년 교통사고수는 213,745건에, 사상자수는 346,556명 (사망: 6,327명, 부상: 340,229명) 에 달한다.

이와 같은 교통사고 피해는 휴대폰에 자동차 네비게이션에서 활용하고 있는 위성항법장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접목시킴으로써 줄이거나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 휴대폰은 위성항법장치를 통해 차량의 사고발생 지역의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이 위치정보와 감지된 충격크기 정보 및 사고사실을 사고처리센터나 보험회사에 자동으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 그뿐만 아니라, 휴대폰들이 자율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최신의 이동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면 자동차 충돌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여 그 사고를 예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 이동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들은 서로 운행정보와 차량정보를 확인하여 충돌 위험이 감지되면 운전자에게 경보신호를 전달하거나 자동차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에 따르면 휴대폰 및 위성항법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사고를 처리·예방하는 기술분야의 특허출원은 2000년 이전 불과 9건에 불과하였으나, 2003년 한 해 8건, 2004년 14건, 2005년 19건으로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특히, 종래에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사고가 난 후에 사고사실을 통보하는 사후 처리 기술이 주로 특허출원되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휴대폰으로 자동차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여 예방하는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 내국인에 의한 특허출원도 활발하여 2004~2005년도에는 외국인에 비하여 약 5배의 특허출원수를 보였다 (내국인: 28건, 외국인: 5건)

자동차 안전시스템 관련한 세계시장은 2010년경 2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산업자원부는 자동차의 충돌·추돌사고 위험이나 보행자를 사전에 감지하여 스스로 멈추는 자동차를 2011년까지 개발할 계획으로 있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정보통신심사본부 네트워크심사팀 사무관 김병성 (042-481-5652)
미리보기 로딩 이미지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