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자료(상세)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밴드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지능형 로봇을 가능케 하는 물체인식 기술
담당부서
기계금속건설심사국
연락처
481-5374
작성일
2008-03-21
조회수
3221
지능형 로봇을 가능케 하는 물체인식 기술
- 지능형 로봇을 위한 물체인식 기술 관련 특허출원 증가 -

지능형 로봇이란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로봇을 말한다. 이러한 지능형 로봇이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이 정형화되지 않은 환경에서 제대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변하는 외부 환경이나 물체를 인식하는 물체인식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지능형 로봇을 위한 물체인식기술은 세부적으로 영상기반 개별 물체 및 범주 물체인식 기술, 3D 센서 기반 물체인식 기술,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최근에 지능형 로봇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물체인식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에 따르면, 지난 16년간(1990년~2005년) 물체인식 기술과 관련된 국내 특허출원이 총 116건이었다. 이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1990~1993년 1건, 1994~1997년 21건, 1998~2001년 38건, 2002~2005년 56건으로 해마다 그 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출원인별 국내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내국인이 83% 이상의 점유율을 보여 외국인보다는 특허출원 비중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내국인 출원인으로는 대우전자(11건), 한국전자통신연구원(8건), 삼성전자(6건) 등이 활발한 특허 출원활동을 보였다. 외국인에 의한 특허출원은 일본(8건)과 미국(5건)의 비중이 높았다.

세부기술분야별로 살펴보면 3D 센서 기반 물체인식 기술분야와 로봇응용을 위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분야가 각각 42%와 35%를 차지하여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상기반 개별 및 범주 물체인식 기술분야는 각각 11%를 차지하고 있어 최근 각광을 받고 있거나 기술 도입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특허 출원 경향을 살펴볼 때 지능형 로봇을 위한 물체인식 기술은 앞으로 기술개발의 가능성과 잠재력이 상당한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에 따라 지능형 로봇에 대한 사회 및 경제적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지능형 로봇을 가능케 하는 물체인식 기술은 그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물체인식 기술은 보안 분야, 인간과 로봇 간의 인터페이스 기술, 의료 영상 분야, 장애인을 위한 재활 장비, 수술 보조, 환경 오염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 관련 기술 개발 및 특허 출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기계금속건설심사국 제어기계심사팀 사무관 오군규 (042-481-5448)
미리보기 로딩 이미지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