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자료(상세)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밴드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건강! U-헬스케어로 지킨다
담당부서
전기전자심사국
연락처
1111-1234
작성일
2008-04-03
조회수
3317
건강! U-헬스케어로 지킨다
- U-헬스케어 관련 BM특허 출원 증가 -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사용하여 치료 차원이 아닌 예방 차원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헬스케어(U-헬스) 비즈니스 방법(BM, Business Method) 특허 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U-헬스는 환자나 일반인이 병원을 찾지 않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 사후관리를 받을 수 있는 의료서비스를 말한다.

의료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한 단순한 원격진료 단계에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건강정보를 측정하여 전송하는 E-헬스 단계로, 최종적으로는 개인의 건강이 언제나 모니터링되는 U-헬스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U-헬스는 인간의 평균수명이 점점 길어지면서 노령인구와 만성질환자가 증가되어 평소 생활하는 가운데 건강과 질병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은 U-헬스 BM특허의 출원이 지난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총 10건이었으나, 2006년에 15건으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 21건으로 증가 추세라고 밝혔다. 반면, 원격진료 관련 BM특허의 출원은 2002년 25건에서 2007년 5건으로, E-헬스 관련 BM특허의 출원은 2004년 26건에서 2007년 11건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U-헬스 BM특허의 기술분야별로 출원의 분포를 살펴보면, 스마트홈 기반 헬스케어가 43%로 가장 많고, 웨어러블(신체부착형) 기반 헬스케어 33%, 헬스머신 연동 헬스케어 24%, 휴대폰을 이용한 헬스케어 출원은 7%로 분석되었다.

스마트홈 기반 U-헬스 분야의 출원은 흔히 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한 도구인 욕조, 좌변기, 문고리, 문틀, 면도기 등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자연스럽게 생체신호를 측정·분석하여 건강을 관리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출원들이 다수를 이루었다.

또한, 출원인은 개인발명가가 20건, 기업이 13건, 기관이 11건, 외국인이 2건으로 개인 발명가의 출원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점차 기업과 기관의 출원이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U-헬스케어 서비스와 관련된 생체신호 측정장비의 다양화, 센서의 발전에 따라서 유헬스케어 관련 비즈니스 모델의 특허출원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특허청은 전망했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전기전자심사국 전자상거래심사팀 사무관 위재우 (042-481-8540)
미리보기 로딩 이미지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