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을 이용하는 복합기술이 시대적 트랜드(trend)!
담당부서
전기전자심사국
연락처
042-481-5733
작성일
2008-08-26
조회수
2896
첨단기술을 이용하는 복합기술이 시대적 트랜드(trend)!
최근 첨단기술을 이용하는 복합기술상품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첨단기술일수록 타 기술에 활용가능성이 큰 원천기술이 많기 때문이다.
종래 자동차는 기계적인 기술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의 자동차를 보면, 첨단 전기전자기술이 자동차의 중요한 구성을 차지함으로써, 이제 자동차는 첨단기술을 포함하는 복합기술체라고 할 수 있으며, 반도체는 그 자체로서는 전기전자분야에서 하나의 부품에 불과하지만, 연구개발에서 생산까지 전체공정을 보면 전기전자, 재료, 나노, 화학, 물리 등 다양한 분야의 첨단기술이 포함되는 복합기술에 해당하며, 나노기술은 나노입자의 활용을 고려하면 화학, 재료, 전지전자, 기계 등 넓은 분야에 복합기술로 활용될 수 있는 첨단소재에 해당된다. 그 밖에도 로봇, 전지, 첨단의료기기, 생명공학기술 등은 대부분 첨단 기술을 포함하고 있는 복합기술들이다.
첨단기술은 기존의 상품과 결합하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시켜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첨단기술의 확보 없이는 시장성이 검정되지 않은 단순 아이디어상품 외에는 생각하기 어려울 것이다.
첨단기술의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하여, 선진국일수록 기초과학연구와 원천기술개발에 많은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며, 첨단기술을 활용한 복합기술상품개발에 기업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과학기술계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것은 이제 기술과 상품이 국제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어렵고, 모든 국민이 참여하는 범국가적인 노력을 체계적으로 모아나가는 동시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존중하는 풍토와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기술수준에 맞게 강화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지적재산권 행정의 주무부처인 특허청(청장 고정식)은 최근 심사국에 반도체, 의료기기, 전지, 생체인식 등의 복합기술과(전기전자심사국), 정밀기계, 로봇 등의 복합기술과(기계금속전자심사국) 및 나노, 무기세라믹 등의 복합기술과(화학생명공학심사국)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날로 첨단화되고 있는 복합기술의 특허 심사품질을 향상시키고, 기술의 첨단화와 복합기술화의 시대적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 복합기술과 복합기술제품의 개념
①복합기술은 점증적인 기술혁신을 통해서 제품과 공정기술이 진화하면서, 기술적 복합성과 구성요소의 수가 증대해 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기존의 기술혁신 패러다임 속에서 지속적인 개선을 통하여 그 기술이 복합화되고 관련기술과의 관계가 점점 복잡해지기 때분이다. ②고부가가치 복합기술제품에서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을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성능, 품질 및 비용절감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제품의 설계와 제조공정은 두가지 혁신을 통한 시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③복합기술제품의 경우 수요자와 공급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우지는 경우가 많다. 수요자가 제품연구에 자금지원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기술발전 경로도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변하는 경향이 있다. ④복합기술혁신에 있어서 성공의 원천은 그룹과 조직네트워크의 누적된 학습이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전기전자심사국 전자소자심사과 서기관 최차희 (042-481-5733)
최근 첨단기술을 이용하는 복합기술상품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첨단기술일수록 타 기술에 활용가능성이 큰 원천기술이 많기 때문이다.
종래 자동차는 기계적인 기술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의 자동차를 보면, 첨단 전기전자기술이 자동차의 중요한 구성을 차지함으로써, 이제 자동차는 첨단기술을 포함하는 복합기술체라고 할 수 있으며, 반도체는 그 자체로서는 전기전자분야에서 하나의 부품에 불과하지만, 연구개발에서 생산까지 전체공정을 보면 전기전자, 재료, 나노, 화학, 물리 등 다양한 분야의 첨단기술이 포함되는 복합기술에 해당하며, 나노기술은 나노입자의 활용을 고려하면 화학, 재료, 전지전자, 기계 등 넓은 분야에 복합기술로 활용될 수 있는 첨단소재에 해당된다. 그 밖에도 로봇, 전지, 첨단의료기기, 생명공학기술 등은 대부분 첨단 기술을 포함하고 있는 복합기술들이다.
첨단기술은 기존의 상품과 결합하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시켜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첨단기술의 확보 없이는 시장성이 검정되지 않은 단순 아이디어상품 외에는 생각하기 어려울 것이다.
첨단기술의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하여, 선진국일수록 기초과학연구와 원천기술개발에 많은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며, 첨단기술을 활용한 복합기술상품개발에 기업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과학기술계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것은 이제 기술과 상품이 국제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어렵고, 모든 국민이 참여하는 범국가적인 노력을 체계적으로 모아나가는 동시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존중하는 풍토와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기술수준에 맞게 강화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지적재산권 행정의 주무부처인 특허청(청장 고정식)은 최근 심사국에 반도체, 의료기기, 전지, 생체인식 등의 복합기술과(전기전자심사국), 정밀기계, 로봇 등의 복합기술과(기계금속전자심사국) 및 나노, 무기세라믹 등의 복합기술과(화학생명공학심사국)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날로 첨단화되고 있는 복합기술의 특허 심사품질을 향상시키고, 기술의 첨단화와 복합기술화의 시대적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 복합기술과 복합기술제품의 개념
①복합기술은 점증적인 기술혁신을 통해서 제품과 공정기술이 진화하면서, 기술적 복합성과 구성요소의 수가 증대해 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기존의 기술혁신 패러다임 속에서 지속적인 개선을 통하여 그 기술이 복합화되고 관련기술과의 관계가 점점 복잡해지기 때분이다. ②고부가가치 복합기술제품에서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을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성능, 품질 및 비용절감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제품의 설계와 제조공정은 두가지 혁신을 통한 시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③복합기술제품의 경우 수요자와 공급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우지는 경우가 많다. 수요자가 제품연구에 자금지원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기술발전 경로도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변하는 경향이 있다. ④복합기술혁신에 있어서 성공의 원천은 그룹과 조직네트워크의 누적된 학습이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전기전자심사국 전자소자심사과 서기관 최차희 (042-481-5733)
상담센터(1544-8080)
담당자 : 대변인 최현경 | 042-481-503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