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핵심기술, RFID 특허출원 급증
담당부서
전기전자심사국
연락처
042-481-5676
작성일
2008-09-17
조회수
3116
연평균 61% 늘어나…‘응용시스템분야’ 최고
유비쿼터스시대의 핵심기술인 RFID(무선인식)관련 특허출원이 크게 늘고 있다.
특허청(청장 고정식)에 따르면 2001년에 70건이었던 RFID특허출원이 2006년엔 1003건, 지난해는 1201건으로 불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내용별로는 응용시스템분야가 가장 많고 칩⋅태그분야가 뒤를 이었다.
RFID 칩⋅태그분야는 2003년 15건에 그쳤으나 2007년엔 138건으로 빠르게 느는 추세다.
2005년 이후 내국인출원이 크게 느는 게 눈에 띈다. 2006년에 912건이었던 게 2007년 1046건으로 증가했다.
출원인별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293건) △삼성전자(209건) △SK텔레콤(140건) 등의 순으로 국내 연구소와 기업들이 외국보다 많이 출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FID는 바코드 대신 상품에 붙이는 무선인식으로 물건 값을 한꺼번에 자동 계산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무선주파수 인식을 통한 자동인식기술로써 바코드와 마그네틱카드 등을 대체하는 유비쿼터스시대의 핵심기술이기도 하다.
이를 이용하면 할인매장 등에서 물건 값을 계산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릴 필요 없이 RFID태그를 이용, 저절로 계산되므로 일상생활에서 아주 편리해진다.
영국의 시장조사전문기관인 IDTech Ex에 따르면 세계 RFID시장규모는 2006년 27억7000만 달러에서 2018년 약 270억 달러로 한해 평균 21%씩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지금의 RFID특허출원 증가세에 만족할 수 없다”면서 “고속성장이 점쳐지는 RFID산업에서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시장선점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우리의 장점인 IT(정보기술) 인프라를 RFID기술과 접목, 응용기술 분야를 개척하면 이동통신서비스처럼 RFID분야도 세계가 주목하는 시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전기전자심사국 유비쿼터스심사팀 사무관 김창주 (042-481-5676)
유비쿼터스시대의 핵심기술인 RFID(무선인식)관련 특허출원이 크게 늘고 있다.
특허청(청장 고정식)에 따르면 2001년에 70건이었던 RFID특허출원이 2006년엔 1003건, 지난해는 1201건으로 불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내용별로는 응용시스템분야가 가장 많고 칩⋅태그분야가 뒤를 이었다.
RFID 칩⋅태그분야는 2003년 15건에 그쳤으나 2007년엔 138건으로 빠르게 느는 추세다.
2005년 이후 내국인출원이 크게 느는 게 눈에 띈다. 2006년에 912건이었던 게 2007년 1046건으로 증가했다.
출원인별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293건) △삼성전자(209건) △SK텔레콤(140건) 등의 순으로 국내 연구소와 기업들이 외국보다 많이 출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FID는 바코드 대신 상품에 붙이는 무선인식으로 물건 값을 한꺼번에 자동 계산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무선주파수 인식을 통한 자동인식기술로써 바코드와 마그네틱카드 등을 대체하는 유비쿼터스시대의 핵심기술이기도 하다.
이를 이용하면 할인매장 등에서 물건 값을 계산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릴 필요 없이 RFID태그를 이용, 저절로 계산되므로 일상생활에서 아주 편리해진다.
영국의 시장조사전문기관인 IDTech Ex에 따르면 세계 RFID시장규모는 2006년 27억7000만 달러에서 2018년 약 270억 달러로 한해 평균 21%씩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지금의 RFID특허출원 증가세에 만족할 수 없다”면서 “고속성장이 점쳐지는 RFID산업에서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시장선점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우리의 장점인 IT(정보기술) 인프라를 RFID기술과 접목, 응용기술 분야를 개척하면 이동통신서비스처럼 RFID분야도 세계가 주목하는 시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전기전자심사국 유비쿼터스심사팀 사무관 김창주 (042-481-5676)
이전글
상담센터(1544-8080)
담당자 : 대변인 최현경 | 042-481-503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