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자료(상세)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밴드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특허청, 「넷제로 챌린지X」를 통해 기후기술을 선도할 새싹기업 육성에 나선다!
담당부서
아이디어경제혁신팀 (한용수)
연락처
042-481-5566
작성일
2025-01-07
조회수
567

특허청, 「넷제로 챌린지X」를 통해
기후기술을 선도할 새싹기업 육성에 나선다!

 

- 특허청, 2025년 탄소중립분야 아이디어 거래·사업화 지원사업 공고 -
- ‘국민참여 제품혁신형’ 및 ‘민간 수요기반형’에 참여할 중소·창업기업 모집 -

 

업무협약은 국정과제* 추진의 일환으로, 특허청의 기술유출 및 지재권 침해 가해기업에 대한 기술·상표경찰 수사(형사처벌)와 무역위원회의 불공정무역행위 조사(침해물품 수출입 중지 등 행정제재)를 상호 연계함으로써 신속하게 피해기업을 구제하고 공정한 기술보호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됐다.

*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 「넷제로 챌린지X」: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위기 적응 분야의 '혁신기술'을 보유한 새싹기업(스타트업)을 발굴하여 거대신생기업(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특전을 제공하는 범국가 탄소중립 프로젝트

 

탄소중립분야 아이디어 거래·사업화 지원사업」은 기업의 기후기술 과제에 대한 국민 아이디어를 특허청 ‘아이디어로*’를 통해 발굴하고, 발굴된 아이디어와 특허정보를 활용하여 제품개발 전략을 지원하는 개방형 제품혁신(Open Innovation) 사업이다.

* 아이디어로(www.idearo.kr) : 아이디어의 수요자(기업)와 공급자(국민)를 연결하는 특허청의 온라인 거래 플랫폼

 

동 사업은 ①국민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활용해 중소·창업기업의 탄소중립 제품개발을 지원하는 ‘국민참여 제품혁신형’과 ②대·중견기업의 탄소중립분야 문제를 국민과 중소·창업기업이 함께 해결하는 ‘민간 수요기반형’으로 나누어진다.

 

①‘국민참여 제품혁신형’은 중소·창업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기후기술 제품에 대한 국민 아이디어를 ‘아이디어로’를 통해 발굴·구매하고, 아이디어의 제품화 해법, 시작품 제작·검증, 지식재산 전략수립 등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②‘민간 수요기반형’은 대·중견기업이 탄소중립분야 과제*를 제시하면, 중소·창업기업이 지식재산 전문가들과 함께 국민 아이디어와 특허기술을 활용해 해결책을 제안하고 제품 공동개발 및 납품까지 연계하는 방식이다.

* 과제명(코엑스) : 행사 폐기물로 인한 탄소배출 감소 방안

 

특히, 올해부터는 특허청이 「넷제로 챌린지X」의 직접선발기관(Tier1)으로 참여하여 탄녹위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 분야의 혁신특허 보유 새싹기업을 선발*하고 지식재산 제품화 전략을 지원할 계획이다.

* 심사평가위원회를 통해 특허청은 ‘기술·사업화 우수성’을, 탄녹위는 ‘탄소중립 기여도(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정도)’를 평가

 

동 사업에 선정된 새싹기업은 이어지는 △추가보육(Tier2)* 또는 △공통 간접 지원(Tier3)**을 통해 기업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추가보육(Tier2) 희망 시, 우선선발·서류심사 면제·심사 가점 부여 등 제공
** 공통 간접지원(Tier3) : 규제특례, 공공조달, 녹색금융, 보증, 네트워킹, IP통합솔루션 등

 

‘국민참여 제품혁신형’ 및 ‘민간 수요기반형’ 부문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창업기업은 1. 7.(화)부터 2. 6.(목)까지 ‘아이디어로’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세부 사업공고는 특허청 누리집(www.kipo.go.kr)과 ‘아이디어로(www.idear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허청 김정균 산업재산정책국장은 “탄소중립에 대한 국제사회 요구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후기술 분야를 선도할 새싹기업 육성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라면서 “기후기술 분야의 혁신특허와 아이디어가 기업의 제품혁신에 디딤돌이 될 수 있도록 꾸준히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미리보기 로딩 이미지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